중국의 환율제도-절상 여파... 한국 경제와 위안화
중국이 달러화를 밀어내고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올리려는 야심을 내비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행장이 위안화 변동폭 확대를 언급하고 나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의 환율 제도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기초로 하지만 인민은행이 경상수지, 무역수지 등을 고려해 환율을 결정하기 때문에 관리변동 환율제로 명명된다.
중국은 2005년 7월 국제적인 압력 등으로 종전의 고정환율제를 폐지하고 현행 관리변동 환율제를 도입했다. 위안화 환율 변동폭 확대는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위안화를 향후 미국 달러화에 이른 국제 보유통화로 육성하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풀이된다.
■中 인민은행장 “위안화 변동폭 확대 검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위안화 환율 변동폭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7일 신화사에 따르면 지난 5일 저우샤오촨(周小川) 인민은행장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위안화 환율의 변동폭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저우 행장은 “산업구조의 변화와 무역흑자 감소 등을 감안할 때 현재 위안화 환율이 적정 수준에 근접해 있다”면서 “위안화 환율의 변동폭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시기이며, 적절한 수준에서 변동폭을 확대할 수 있다”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국내외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위안화 환율변동폭을 확대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며 “환율 변동폭을 확대함과 동시에 시장 요구에 따라 환율을 결정하는 시스템 적용을 고려 중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저우 행장은 위안화 환율의 구체적인 변동폭과 적용 시점 등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않았다. 현재 위안화의 하루 환율 변동폭은 달러화에 대해 ±0.5%이며 유로화나 엔화 등 비달러화에 대해서는 ±3%다.
이같은 발언은 조우 행장의 발표 전날인 지난 4일 원자바오(溫家寶) 국무원 총리도 언급한 바 있다.
원 총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 대한 정부 업무보고에서 “합리적이고 균형적인 수준에서 환율 안정을 유지할 것”이라며 “위안화 환율의 양방향 변동 신축성을 증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저우 행장은 원 총리의 발언에 “환율 결정에는 국내외 형세가 모두 영향을 미친다”면서 “종합적으로 볼 때 위안화 환율의 변동폭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는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대답해 정부의 기본 지침에 대해 중앙은행이 받아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위안화 절상, 한국에 유리한가?
저우 행장이 위한화 변동폭을 확대한다는 발표를 했지만 위안화 절상폭이 단기간에 크게 나타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어 급속한 위안화 가치 변동을 방치할 경우 수출 기업들에 충격을 줄 수 있어서다.
중국이 위안화 변동폭을 확대하면 우리나라 원화값은 추가 절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위안화 값이 1% 상승하면 원화값이 0.49% 오른다는 것이다.
위안화 값이 오르면 우리나라 상품이 제3국 수출에 대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무역수지 흑자 확대로 이어져 투자자들이 원화 절상을 협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통상 위안화값이 오르면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높아져 대 중국 수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산업은행경제연구소는 “위안화 값이 10% 절상되면 우리나라 수출 증가율은 3.62%p, 국내총생산(GDP)은 0.32% 각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위안화값이 지나치게 크게 상승하게 되면 중국의 무역수지가 악화되면서 침체에 빠지고, 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