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파산 공장 경매시장에 ‘봇물’

수출부진 겹쳐 부채 못 이겨… 도내서만 100여건 매물 ‘대기’

경기침체 여파로 영세 공장들이 대거 경매시장에 나오고 있다.

 

1일 도내 경매업체 등에 따르면 3월 한달 동안 전국 법원에서 진행되는 공장 경매 건수가 400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수도권에서 진행되는 공장 경매물건도 100여건이 경매에 나올 전망이다.

 

이는 장기적인 경기침체와 수출부진으로 영세 중소기업들이 빚을 감당하지 못하고 부도, 파산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더욱 심각한 것은 경매시장에 나온 공장들은 장기 유찰되는 경우가 많아 경기침제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실제 토지면적 5천520㎡ 규모의 안성의 공장은 감정가 37억원2천600만원에 경매시장에 나왔으나 입찰자가 없어 3차례 유찰됐다.

 

현재 4차 경매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 공장은 감정가의 절반 수준인 19억700만원까지 낙찰가격이 하락했다.

 

파주시 검산동 3천501㎡ 규모의 공장도 감정가 31억1천만원에서 계속 유찰되면서 최저가는 15억2천만원 선까지 낮아졌다.

 

인천 남동공단 내 감정가 24억4천만원 상당의 공장도 유찰돼 17억원까지 낙찰가격이 떨어졌다.

 

홍희정 수원법률경매정보 대표는 “장기적인 경기침체와 수출부진으로 늘어나는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고 부도와 파산으로 경매까지 나오고 있다”며 “공장 물건은 충분한 답사와 채권은행과 정보교환 및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주변시세 세금체납 임차관계 그리고 도로지분이 있나 여부에 대해 확인됐을 때 입찰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대규모 공장 등 고가의 경매물건은 금융기관 대출이 과다한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관련 업체들과 채무관계가 얽혀있어 헐값에 낙찰이 되면 은행부실과 관련 업체 줄도산 등 사회·경제적 문제로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경매에 오른 공장은 5천75건으로 나타났으며 건당 평균 낙찰가는 3억9천25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