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깻묵 등 이용… 사료비 최고 25% 절감 효과’
소값 폭락과 사료비 상승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축산농가를 위해 농촌진흥청이 사료비 절감 효과가 있는 ‘섬유질배합사료’ 제조 기술의 농가 보급에 나섰다.
25일 농진청에 따르면 섬유질배합사료는 섬유질은 많지만 양분이 적은 건초 등 조사료에 쌀을 찧을 때 나오는 미강과 깻묵 등 농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영양 부산물을 섞은 사료를 말한다.
95%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사료용 옥수수, 소맥피 대신 이를 사용할 경우 기존 사료비를 10%에서 최고 25%까지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양 부산물을 이용한 섬유질배합사료를 적절히 먹일 경우 사료비 절감은 물론이고 육질 1+ 등급 출현율을 기존 44%에서 69%로, 1++ 등급도 12%에서 39%로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농진청은 국립축산과학원 인터넷 홈페이지(www.nias.go.kr)에 섬유질배합사료 가이드라인을 포함한 ‘한우 사양 표준 프로그램’을 등재해 농가의 적극적 활용을 권유했다.
농진청은 또 지역 특성에 맞는 부산물 활용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경기도 광주시, 전북 장수군, 경북 봉화군과 섬유질배합사료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 지자체를 통한 기술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장원경 원장은 “농산부산물을 활용한 한우 섬유질배합사료 생산비율이 2004년에는 2%에 불과했지만 사료비 상승으로 지난해는 6.5배인 13%까지 수요가 증가했다”며 “축산농가에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섬유질배합사료제조 기술을 적극 보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