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인터뷰] 이인재 파주시장에게 듣는다

‘함께 웃고, 함께 꿈꾸는 행복한 파주만들기’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인재 파주시장은 “일자리가 시민경제의 원동력인 만큼 파주만의 장점을 살려 젊은 일자리를 최대한 만들겠다”는 비장한 각오로 임진년 새해를 맞았다.

 

이 시장은 “최고복지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급식도우미 등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 900여개를 비롯, LG디스플레이·화학, 일본계 업체인 이데미쯔코산, 대만업체인 ASE코리아와의 일자리 양해각서 체결 등을 통해 총 3천300여개 신규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이인재 시장과의 일문일답.

 

-우선 38만 파주시민들에게 새해 인사 한마디.

 

시민들이 경제적으로 힘든 여건속에서도 지난 한 해 뜨거운 열정과 사랑으로 파주의 희망을 키워줘 감사한다. 올해는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출발부터 경기가 좋지 않다. 하지만 지난해 시민들은 구제역과 폭우 극복, 운정3지구 사업 재개 등 절망을 희망으로 바꿨다. 새해 파주는 이러한 시민들의 강력한 의지로 더 큰 희망을 맞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지역 부동산경기가 다소 살아나고 있다는 소식이 있는데.

 

신도시가 진행 중인 교하지역을 제외한 시 전체의 95%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돼 부동산경기가 숨통을 틔웠다.

 

2020년 67만명을 목표인구로 토지이용계획을 재수립했다. 또한 지속가능한 발전 토대와 통일이후 성장동력인 지역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법적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민통선 대성동마을을 접경지역지원법에 포함시키고 특별법으로 격상시켰다. 뿐만 아니라 운정3지구만 사업을 재개시키는 쾌거도 이뤘다.

 

- 올해 시정 운영방향은.

 

핵심은 절약과 내핍을 통한 건전재정운영이다. 또 국도비 확충을 통해 지역현안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지역균형발전·명품교육도시·교통선진도시 등 3대역점시책의 순항, 통일한국의 중심도시로서의 기반구축 등을 기본적인 시정운영방향으로 잡았다.

 

-일자리창출이 최고복지라고 줄곧 강조하고 있는데.

 

일자리 창출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 지역실정에 맞는 다양한 시책을 추진, 3천3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청년실업 해소와 고령층 취업에 나설것이다. 또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인력을 양성해 취업시키는 산·학·관 협력 맞춤형 일자리사업을 추진하고, 특성화 고등학생 채용박람회도 개최하겠다.

 

-취임이후 줄곧 시 부채줄이기에 총력을 기울여왔는데 성과는.

 

현재까지 신규채무발생이 ‘0’이다. 지난해까지 부채비율을 17.5%에서 13.9%까지 낮췄다. 올해 역시 244억원 가량의 채무 감축계획을 갖고 있으며, 향후 4년간(2014년) 약 883억원을 감축해 부채비율을 6%로 낮추고 재정건전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업예산 및 행사·축제성경비는 최대한 줄이고 경상예산도 올해 수준으로 동결하거나 최소화할것이다. 시책업무추진비 사용한도액 6억여원도 4% 이상 줄일 방침이다.

 

-한·미 FTA 국회 통과로 장단콩과 개성인삼 재배농민들이 위축되고 있는데.

 

농축산 분야에 대한 파급효과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발빠르게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농특산물을 직거래하는 파머스마켓(Farmers Market) 건립 등으로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근교농업의 장점을 활용한 시장개척 등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방향을 잡겠다. 또 파주를 대표하는 개성인삼과 장단콩의 품질고급화, 공급안정화, 수출판로 확대방안을 마련, 농가소득 증대가 이뤄지도록 하겠다.

 

-통일경제특구유치 등 주요 현안대책은.

 

파주는 통일수도를 지향하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핵심은 남북한 접경지역에 개성공단에 상응하는 통일경제특구를 설치, 기존 개성공단과 인접한 파주 장단지역에 제2의 개송공단과 배후도시를 건설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통일경제특구유치 전담팀을 발족해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통일경제특구법을 통과시키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초기비용으로만 500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평화통일대학교대학원을 유치해 파주를 명실공히 통일경제와 인력을 전담하는 통일브랜드로 선점해 육성할 계획이다.

 

-반환공여지 주변지역 도시개발이 관련법 충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경기도와 협의중인 캠프 하우즈 개발에 일단 제동이 걸린 상태다.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을 근거로 캠프 하우즈 주변지역을 민간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행정안전부에 발전계획수립을 확정받았다. 이후 경기도에 도시개발구역지정을 요청해 놓고 있는데 사유지 토지주의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어야한다는 도시개발법때문에 지역지정이 안되는 등 사업추진이 어렵다.

 

극동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이탈리아 페라리사로부터 페라리월드 건립에 대한 투자유치의향도 받았는데 미비한 국내법 문제로 자칫 영향을 받을까 걱정된다. 향후 특별법과 도시개발법 충돌 문제에 대해 법제처의 유권해석을 받는 한편, 도시개발이 가능토록 특별법 개정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파주=김요섭기자yoseop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