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서비스·카드론 이용 독려에 혈안

카드사, 정부 카드발급 제한 움직임에 ‘한도 상향’ 사용 유도

회사원 남모씨(30·여)는 최근 들어 카드사로부터 오는 문자메시지 때문에 짜증이 날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

 

이달 카드 한도를 다 썼음에도 불구하고 현금서비스를 특판최저금리 연 7.5%로 제공한다는 내용의 문자를 시도때도 없이 보내기 때문이다.

 

주부 강모씨(51) 사정도 마찬가지다. 이달 초 12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카드한도가 상향된 뒤 강씨도 모르게 프리미엄 카드론 대상자로 선정됐다는 안내 메시지가 와 보이스피싱이 아닐까하는 의심이 들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콜센터로 문의했더니 일반 카드론 한도는 400만원이지만 이벤트 기간 내 프리미엄 카드론을 이용하면 600만원까지 사용할 수 있다며 가능 한도가 있을 때 급전을 대비해 미리 받아두라는 설명까지 들을 수 있었다.

 

정부가 늘어나는 가계빚을 억제하기 위해 카드 발급 등을 제한하자 신용카드사들이 고객들에게 수익률이 높은 현금서비스, 카드론 등의 사용을 유도하고 나섰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3분기 은행과 제2금융권 가계대출에서 주택대출을 제외한 기타대출 잔액은 245조2천억원으로 이는 지난해에 비해 9.1%(20조원) 가량 늘어난 수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저소득·저신용자의 무분별한 대출로 인한 부채를 축소하기 위해 신용카드 발급 제한과 신용한도 축소에 대한 내용을 담은 ‘신용카드 구조개선 대책’을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신용카드사들은 당장 카드발급이 제한되면 수익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금서비스, 카드론 등 대출 거래가 축소돼 손해가 생길 것을 우려, 대출서비스를 확대하고 홍보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더욱이 카드한도를 상향하면서 ‘0원’이던 카드론 한도를 고객 동의없이 안내멘트만 남기고 늘려놓거나 사용한도가 없는 고객층까지 현금서비스 이자 우대를 홍보하고 나서 회원들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고객 우대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은 수익 보전 의도와는 상관없고 정부 발표와 이벤트 시기가 맞물려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며 “고객들의 신용도에 따라 결정된 혜택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