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보 보증사고 예방 시급”

1년새 73.7% 늘어난 7천994건 발생

인천신용보증재단(이하 재단)의 보증사고 예방과 연고기업 출자 및 출연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7일 인천신용보증재단이 인천시의회 산업위원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재단의 구상채권, 상각채권 등을 포함한 총 보증사고는 지난해 10월 기준 4천603건(674억 1천만 원)에서 지난달 7천994건(1천62억 1천700만 원)으로 1년 사이 3천391건(73.7%), 388억 700만 원(57.6%)이 증가했다.

 

업종별 보증사고 금액은 도·소매업이 34.1%(361억 7천600만 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숙박·음식업 19.6%(207억 8천800만 원), 제조업 17.6%(187억 4천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금액은 지난 금융위기 이후 저신용자나 저소득자에 대한 소액보증이 활성화되면서 1천만 원 이하가 31.2% 4천722건(331억 8천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전반적인 보증 활성화 및 경영여건 개선을 위한 지자체와 지역 연고기업들의 출연금 확충도 함께 요구됐다.

 

재단 출범 이후 지자체와 지역 연고기업 등 36개 기업과 기관이 재단에 1천467억 원을 출연했지만, 이는 대부분 금융위기 이전에 출연한 금액이다.

 

특히 지난 1년간 기초자치단체 출연 금액은 남구, 동구, 연수구, 중구 등 총 5억 원에 불과하며, 지역 연고기업 출연금액은 단 한 건도 없다.

 

조영홍 시의원(민·남구 2)은 “소액대출이 계속되면서 보증사고도 함께 늘고 있지만 이에 따른 대책 마련에는 소극적인 모습”이라며 “재단이 지역 소기업이나 소상공인 지원을 담당하는 만큼 지자체와 지역 대기업의 출연 대책도 함께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