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도의원, “시운전 기간 다이옥신 초과 배출 등 성능 미달… 특별감사 필요”
다이옥신 초과 검출로 가동이 중단된 고양소각장이 준공 당시부터 이미 성능에 문제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이재준 의원(민주·고양2)은 21일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해 2월 5일부터 3월 10일까지 실시된 고양소각장 시험운전 당시 코크스(쓰레기를 태울 때 소각효율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 과다 사용, 다이옥신 초과 배출, 비산재 과다 배출 등의 문제가 발생, 설계 기준치가 초과됐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그런데도 위탁업체인 한국환경관리공단이 소각장 준공 처리를 해줬으며, 이는 분명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한달 조금 넘는 시운전 기간 코크스 사용량이 설계기준(5%)을 초과한 날이 12일에 달하고, 비산재는 단 하루도 기준치(1.26%) 이내에 든 적이 없다”며 “다이옥신 배출 농도도 지난해 2월 11일 조사 때 설계 기준치(0.01ng-TEQ/S㎥)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또 그는 “시의 중심적 역할이 없었다면 어떻게 이런 총체적 부실이 은폐되고, 준공검사를 필하고도 하자보수를 요청하지 못하는 일이 가능하겠냐”며 “포스코나 환경관리공단만의 문제로 치부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점이 너무 많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고양시 일산쓰레기 소각장에 대해 1개월 내에 특별감사를 실시해야 한다”며 “현재 감사중인 감사원 감사 결과 및 경기도의 특별감사가 이러한 의혹에 대해 진실규명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경기도의회가 행정조사특위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관리공단 관계자는 “코크스 사용량 등 변동비가 증가한 부분은 패널티를 부과하는 항목으로, 준공 당시 기준이 되는 소각량은 설계 기준치(하루 300t)에 적합하게 나왔다”며 “다이옥신 초과 배출도 준공 전 개선이 이뤄졌다”고 반박했다.
한편 지난해 3월 준공된 고양 첨단 소각장은 1천126억원이 투입돼 하루 300t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로 2기를 갖추고 있지만, 2년째 제 성능을 내지 못하면서 운영업체와 시공업체가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다.
고양=유제원기자 jwyoo54@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