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석산개발 강행 논란

市, 송도관광단지로 편입시켜 도개공이 사업 재추진

이재호 시의회 부의장 “땅 사들여 시민공원 조성해야”

인천시가 부실사업으로 전락한 송도 석산 개발사업을 송도관광단지에 편입시켜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가 재추진토록 해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 시 등에 따르면 도개공은 지난 2007년부터 연수구 옥련동 76의 9일대 13만 9천462㎡의 송도 석산을 수익시설을 유치해 석산 절개 면을 활용한 ‘시민의 숲’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다 사업성이 떨어져 현재 사유지 보상만 끝마친 채 사업을 중단한 상태다.

 

시는 최근 도개공과 인천관광공사의 통합과 연계해 송도 석산 부지를 관광공사가 추진 중인 송도관광단지에 편입시켜 도시개발사업으로 전환해 재추진토록 했다.

 

결국, 시는 도개공이 토지 보상을 끝내놓고도 사업성이 떨어져 수년간 흉물로 방치되면서 부실사업으로 전락한 송도 석산 개발사업을 또다시 도개공으로 떠넘겼다.

 

특히 감사원은 지난해 6월 ‘송도 석산 개발사업이 도개공의 수익사업으로 진행되기 어렵다’고 지적, 시가 이미 보상이 끝난 석산 부지를 재매입하는 형태로 도개공이 선 투입한 보상비(469억 원) 등 582억 원을 대행사업비로 되돌려줄 것을 지시했다.

 

또 행정안전부도 도개공에 올해 말까지 이 돈을 회수하도록 경영개선명령까지 내렸지만, 시는 이 두 가지 사항을 이행하지 않고 개발사업을 강행하고 있다.

 

게다가 송도 석산은 총 사업비가 1천355억 원에 달하는데도 마땅한 수익시설 유치가 힘들어 공원 조성이라는 애초 목적과 달리 주거지역 등으로 변질할 우려마저 있어 자칫 도개공의 재정난만 부채질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재호 인천시의회 부의장(한·연수1)은 “송도 석산은 인천대교를 통해 인천으로 진입하는 관문인데, 시가 이곳을 골칫덩어리인양 개발에 급급해하고 있다”며 “시가 근시안적 안목에서 벗어나 감사원과 행안부의 지적대로, 땅을 사들여 시민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현재 시의 재정여건으로는 대행사업비를 돌려준 뒤 공원으로 조성할 만한 여력이 없어서 이 같은 방안을 검토 중이다”며 “만약 개발하더라도 사업을 떠넘기지 않고 도개공이 우선 사업비를 투입해 개발한 뒤 나중에 사업비를 보전해주는 형태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