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원가 축소·사업성 개선 대책도 없어 1년째 허송세월
인천시의 검단신도시 조성 사업이 1년여 동안 뚜렷한 사업성 개선 대책도 없고, 3조 원에 육박하는 광역교통 비용에 발목이 잡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오는 2016년까지 15조 4천억 원을 들여 서구 원당·당하·불로동 일대 1천800만㎡에 주택 9만 2천 가구를 건립하는 검단신도시 1·2지구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 2005년 검단신도시 개발에 대한 수익성 분석 때 내부수익률(IRR)이 7.2%로 총 3천882억 원의 순현재가치(NPV)가 있을 것으로 분석, 사업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여파에다 조성원가(3.3㎡당 591만 원)가 다른 신도시에 비해 높아 경쟁력이 떨어져 적자 사업이 우려됐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1년여 동안 사업성 개선을 위해 개발계획 변경을 추진 중이지만 아직 뾰쪽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특히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신도시 개발에 따른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도시철도 1·2호선 14㎞(1조 6천억 원)와 도로 61㎞(1조 1천900억 원), 환승 센터·중앙버스차로 12㎞(100억 원) 설치 등에 2조8천억원(가구당 3천만 원)이 필요해 사업 추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도개공 등은 지하철 1·2호선을 간선급행버스(BRT)로 바꾸고 녹지비율을 낮추면 1조 3천억 원의 광역교통개선대책 비용이 줄어드는 만큼, 조성원가를 9.5% 줄이겠다는 계획을 내놨지만,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내부 검토만 반복하고 있다.
또 공사비를 조성토지로 대체하는 대행개발방식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도 하겠다고 나서는 사업자가 있을지 불투명하다.
이로 말미암아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현금 유동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까지 1지구의 토지보상률은 85.3%로 총 보상비 3조 4천591억 원 중 중 2조 9천501억 원이 투입돼 매월 이자 110억 원만 물고 있고, 추가 보상을 위해 5천억 원이 필요해 앞으로 계속 공사채를 발행해야 하지만 행정안전부 승인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아파트 분양가가 3.3㎡당 900만 원대로 낮추고 대학이나 법원 등의 시설 유치 등이 이뤄져야 하는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가능한 한 빨리 조성원가를 낮추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