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대학들 “경쟁률 낮고 인프라 구축 필요”
정부가 오는 2015학년부터 ‘재직자 특별전형’ 비율을 5.5%까지 늘릴 방침이나 대학들은 특별전형의 응시율이 낮고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며 시큰둥한 반응이다.
11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은 현재 5%인 대학의 특성화고 특별전형 비율을 오는 2015학년도까지 1.5%로 줄이고, 특성화고를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비율은 2%에서 5.5%까지 늘리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는 특성화고의 ‘선취업-후취학’을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다.
재직자 특별전형은 2010학년도에 처음 도입돼 2012학년도까지 정원의 2% 이상, 2013학년도부터는 정원의 4% 이상 선발이 가능하다.
하지만 특성화고 졸업생들의 선 취업을 유도하겠다는 취지에도 불구, 전국 대학들은 현실과 동떨어진 제도라며 내켜하지 않고 있다.
2011학년도에 이 전형을 실시한 대학은 중앙대, 건국대, 국민대, 공주대 등 고작 7개 대학이며 학과 개설도 8개에 그쳤다.
특히 인천지역 대학은 그동안 이 전형으로 학생을 뽑은 대학은 한 곳도 없으며 이같은 분위기는 내년에도 별반 다를게 없다는 게 해당 대학들의 설명이다.
정부 정책에 부응하지 못한 대학들의 의지 부족 탓도 있겠지만 모집인원을 겨우 채울 수준의 재직자 특별전형 경쟁률이 낮고 야간학과 개설, 교수 배치 등 산업체 재직자가 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쉽지 않다는 이유가 크다.
올해 재직자 특별전형을 실시한 7개 대학은 당초 473명을 뽑기로 했으나 일부 대학이 미달, 총 383명을 선발하는데 그쳤다.
또 야간이나 주말에 재직자 특별반을 개설,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는데 교수들 조차 재직자 특별반 담당을 기피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하대 관계자는 “학생들이 산업체 재직을 전제로 대학을 다녀야 하기 때문에 여기에 걸맞는 인프라가 갖춰져야 하는데 대학운영상 쉽지가 않다”며 “하지만 2015학년도에 대비해 충분히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인천대의 경우 ‘고교졸업 후 산업체근무 경력 2년 이상 재직자’를 대상으로 취업자 특별전형을 정원내 선발하고 있어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은 현재로선 검토하고 있지 않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