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기업 10곳중 3곳 이자도 못낸다

한은 조사결과 ‘한계기업’ 전년比 4.1%p 증가

올해 국내 상장기업의 30%가 이자조차 제대로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들 한계기업에 대한 점진적인 구조조정과 함께 금융기관의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천491개 조사업체 가운데 올해 2분기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은 30.2%로 전년 같은 기간(26.1%)보다 4.1%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3곳 꼴로 한계기업인 셈이다.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으로, 이 비율이 100%에 못 미치면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지 못하고 있다.

 

이 가운데 영업이익이 나지 않아 이자를 한 푼도 갚을 수 없는 이자보상비율 0%미만인 기업은 지난해 2분기(19.2%)보다 2.3%P 늘어난 21.5%에 달했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은 2009년 평균 32.3%에서 2010년 27.3%로 줄었으나 올해 들어 다시 30% 안팎으로 늘어났다.

 

신용보증기금이 거래하는 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의 보증 규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