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국정조사 증인 채택 사실상 무산

오는 12일 활동이 종료되는 국회 저축은행 국정조사가 증인 채택을 둘러싼 여야의 이견으로 사실상 무산됐다.

 

여야는 4일 증인 채택 문제를 놓고 양당 원내대표까지 나서 협상을 벌였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증인을 청문회에 출석시키기 위해선 일주일 전에 청문회 출석을 통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오는 10~11일로 예정된 청문회는 64명에 이르는 증인 수로 정상적인 진행이 어려웠던 상황이었다.

 

여야간 쟁점은 이영수 KMDC 회장이었다. 이 회장은 한나라당 청년위원장 출신으로 삼화저축은행의 불법 자금을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에 전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민주당은 삼화저축은행 불법자금의 한나라당 전당대회 유입설과 관련해 진상을 확인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한나라당은 근거 없는 의혹이라며 반대했다.

 

여야는 김황식 국무총리와 청와대 실세 등 현직 인사는 증인 채택에서 배제하기로 했다. 이로 인해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 등 현직 의원들의 증인 채택도 없던 일이 됐다.

 

여야의 또다른 쟁점이었던 박지만·서향희 부부 역시 여야는 증인 채택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 때문에 정진석 전 정무수석과 이영수 KMDC 회장이 쟁점이 됐다.

 

한나라당 이종혁 의원은 “부산 저축은행의 본질과는 상관없는 정략적 도구로만 이용될 증인들”이라며 반발했고 민주당 박선숙 의원은 “한 사람도 내주지 않겠다고 버티는 여당에 얼마나 더 양보해야 하느냐”고 비판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한나라당은 의혹을 풀 수 있도록 최소한의 핵심 증인을 내보내달라”며 “이 요구가 될 때까지 기관보고 절차에 따르는 피해자 구제대책을 마무리지어가면서 재차 촉구할 것이다. 증인을 부를 기간이 필요하다면 기간을 연장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여야가 증인 채택이나 국정조사 활동 시한 연장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결국 저축은행 국정조사는 아무 결과없이 빈 껍데기로 전락하게 된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