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업무 연속성 지장·부패 대상자로 문책성 인식 우려” 제기
수사부서에서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경찰들에 대한 대규모 인사(전보)가 단행될 것으로 보여 인천지역 일선 경찰서들이 술렁이고 있다.
이번 전보 인사 대상에는 인천지방경찰청을 비롯한 전국 지방경찰청 산하 수사부서 경찰 5천700명 가운데 7년 이상 같은 경찰서에서 근무한 경찰 1천100여명(20%)이 포함된다.
최근 진행된 총경급 인사에 이어 경위 이하에 대한 인사는 오는 20일 전후로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 인사는 최근 서울 강남지역 경찰들이 사건 청탁과정에서 접대를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조현오 경찰청장이 “강남지역에서 5~7년을 근무한 형사들을 다른 지역으로 전출시키는 인사를 시행하겠다”고 언급하면서 예고됐다.
이에 대한 일선 경찰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우선 경찰의 각종 비위가 끊이지 않는만큼 이번에 더욱 강력한 인사가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내부에서도 적지 않다.
인천의 경우 지난해부터 각종 비위 사건들이 잇따르면서 최근에는 단속 정보를 알려 주는 대가로 불법 오락실 업주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인천지방경찰청 마약수사대 A경사(44)가 구속되기도 했다.
B경찰서 C팀장은 “아무래도 한 부서에 오래 근무하면 느슨해지는 측면이 있다 보니 순환근무도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다만 문책성으로 비춰질 수 있는만큼 예측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관할 지역에 대한 정보가 수사력으로 이어지는 업무 특성 상 잦은 인사가 비효율적일 수 있고 전체 경찰을 부패 대상자로 여겨 사기 저하도 우려된다는 의견들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2008년 일산 초등학생 성폭행 미수사건 이후 대팀제가 도입됐다 1년여만에 실패로 돌아갔듯, 섣부른 인사보다는 현장 상황에 맞는 인사방침이 세워져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D경찰서 E팀장은“근무하면서 수년 동안 쌓아온 노하우가 있는데, 똑같은 룰로 모두를 부패 대상으로 보고 이뤄지는 인사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천지방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청으로부터 비위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취지로 인사 지침이 내려온 만큼 지역 실정에 맞게 계획을 짜고 있다”며 “무조건적인 교체가 아닌 업무의 연속성에 지장이 없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