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리티의 진수를 느끼게 하는 박철환 작가

외견상 박철환의 그림은 신비롭다.

 

마치 사진처럼 리얼리티가 살아있는 정물이 놓여 있든 햇빛 잔뜩 머금은 숲의 승경이 그려지든 화사한 색감들과 인지력이 높은 사물들로 인해 그의 화면은 일견 몽환적으로 다가오기까지 한다.

 

초현실주의와 하이퍼리얼리즘을 넘나드는 조형어법, 상당한 숙련을 거쳐야만 빛을 발하는 고도의 테크닉과 철저하게 분석적인 사물접근법은 그의 그림들을 빛나게 하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작가에게 있어 예술은 대상물을 자연에 대한 경외감이라는 일관된 시각으로 탐구하여 내면의 세계에 대한 자신의 반응과 함께 형상화하는 수단이다.

 

우연적인 것과 필연적인 요소가 함께 나타나는 화면의 근본적인 신비감을 지니게 되는데 이것은 작업 행위속의 무의식 작용과 화면의 일정 부분에 의도된 필연성에 기인한 것으로도 보인다. 그러므로 박철환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우연적 요소는 일정부분 화면의 구성과 본인의 의도가 일치함으로써 마치 우연으로 보이는 효과나 실상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준다.

 

자연에 기초를 둔 감성의 동기유발로 모든 사물과 자연을 감성적 지각 대상으로 바라보며, 주관적 감정을 이입한 조형형식을 바탕으로 작품의 표면에 그것을 형상화시키고 선택된 소재를 병치시키는 일은 늘 새로운 실험 정신을 동반하는 일이기도 하다.

 

사용하는 매제의 변주도 놀랍다. 인물을 위시한 풍경화와 정물화를 주로 그려온 그는 유채화나 투명 수채화의 장점을 십분 발휘하며 그림들에 적절한 생명력을 불어 넣는다. 두껍고 다소 불규칙한 오브제가 밑바탕으로 깔린다든가 정형적인 틀을 거부한 채 인위성을 부여 받은 캔버스들은 작가 나름의 구조적 계산에 따라 조화로움을 형성한다.

 

그 가운데 혹은 어느 귀퉁이에 존재되는, 실존적 유추가 가능한 형상들은 그 하나마다 얕은 질감이 느껴지다가도 후면부엔 가서 텁텁한 느낌이 묘한 뉘앙스를 풍긴다. 가끔은 수채화가 지닌 번짐의 여백과 세밀한 묘사를 통해 작가만의 심미성을 수반하는 감성이 드러나곤 한다.

 

특히 주제와 달리하는 인위적인 여백은 동양화나 문인화에서 느낄 수 있는 서정성이 물씬 다가올 만큼 매력적이나. 우리는 그의 리얼리티가 살아 있는 작품 속에서 형체만을 보거나 다양한 기법에 테 둘러진, 시각적 변화가 놀라운 테크닉에 두었던 한정적인 시선을 거둘 때가 되었다.

<자료제공: 정구찬갤러리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63-1 ☎031-262-7122>

프로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및 미술대학원 회화과 졸업

전시경력

개인전(38회)/화지갤러리(일본 동경)/제3갤러리(서울)/관훈갤러리(서울)/예술의전당(서울)/조형갤러리(서울)/조흥갤러리(서울)/현대아트갤러리(서울)/갤러리상(서울)/인사아트센터(서울) /현대화랑(대전)/교차로갤러리(대전)/갤러리아 타임월드(대전)/성갤러리(대전)/혜원갤러리(인천)/동아갤러리(인천)/송아당화랑(대구)피카소화랑(부산)/파르티타갤러리(광릉)/현대갤러리(울산)/Arts Pool 삼진미술관(마산)/단성갤러리(서울)

아트페어(28회)

2005-2010아트서울(예술의전당, 서울)/대전엑스포(대전)/ 키아프2004(코엑스, 서울)/제16회 2005 피아인터내셔널 Art Fair (타마나코인터네셔널,베네주엘라)/Universiadad Elsalvador 한국주관기념/Fiaam Art Fair(상해, 중국)/2006 Miami Art Fair(마이애미,미국)/ Europ'Art Geneva(스위스)/한국조경 엑스포 (setec) 아트엑스포(말레이시아)/뉴욕아트엑스포(뉴욕) /마니프(예술의 전당2008)/2005-2011대한민국구상대제전(예술의전당,서울)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