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 숲의 도시…마치 베니스에 온 듯

김포한강신도시, 도시 구석구석 실개천-수로·녹지율 31.7%

물량 위주의 1기 신도시와 달리 2기 신도시는 생태환경과 문화, IT가 강화된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이 핵심 콘셉트다.

 

이 같은 2기 신도시의 선두주자격인 김포한강신도시는 수로와 실개천이 흐르는 ‘캐널시티(Canal-City)’, 수도권 최대 규모의 ‘조류생태공원’과 30% 넘는 공원녹지율, 차도와 분리된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등을 핵심 콘셉트로 내세우고 있다.

 

국내 처음으로 수로도시로 건설되는 한강신도시는 도시 곳곳에 모두 16km에 달하는 수로 및 실개천을 조성하고, 수로를 따라 공원, 문화시설, 상업시설 등을 조화롭게 배치, ‘한국의 베니스’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개천 양측으로는 10~30m의 녹지공간을 조성, 주민들이 이웃과 함께 담소를 나누며 휴식과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심내를 가로지르는 총 연장 3㎞의 수로 주변에는 풍부한 수변공간과 문화형 상점가를 일체화된 공간으로 조성한다.

 

특히 한강신도시는 일산(20%), 분당(22%)보다 훨씬 높은 31.7%의 녹지율을 적용해 쾌적한 환경과 약 60km의 도로분리형 자전거도로, 도시 곳곳에 50여 개의 공원이 조성된 친환경 생태 신도시로 건설된다.

 

한강변에 위치한 60만㎡의 반달형 농지를 보존, 조성할 야생조류생태공원은 철새 취식지로서 생태적 보존가치가 높아 국내·외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로와 환경체험학습관(에코센터)을 연계한 생태학습·탐방 프로그램을 구축, 생태환경 거점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2017년까지 서울지하철 9호선 김포공항역에서 한강신도시까지 김포도시철도가 연결되며 한강변을 따라 올림픽대로와 신도시를 오가는 왕복 6차선 김포한강로가 오는 6월 개통, 서울도심 15분, 강남권까지는 30분내 접근이 가능하다.

 

수도권 서북부에 위치한 한강신도시 주변에는 한강시네폴리스, 경인아라뱃길, 조류생태공원 같은 다양한 개발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어 한강신도시는 이에 따른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강변과 인접한 김포시 걸포동 일대의 270만㎡에 영상산업 육성을 위해 스튜디오, 창작주거단지, 쇼핑, 엔터테인먼트 시설, 마리나 시설 등을 포함하는 영상복합문화도시인 한강시네폴리스가 2016년까지 들어설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