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더불어 살아가는 도시 조성해야
지난달 과천지식정보타운지구가 발표된 이후 과천지역에서는 아파트 가격문제로 계층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과천지역 일부 아파트 소유자들이 보금자리주택으로 인해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며 과천지식정보타운지구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고, 저소득층은 세입자들의 내 집 마련을 위한 유일한 길이라며 보금자리 정책을 옹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천지식정보타운지구에 대한 찬반 논쟁은 포털사이트의 부동산 관련 카페에서 시작됐다.
이 카페 회원들이 보금자리 주택 때문에 아파트 가격이 떨어진다며 이 정책을 주도한 한나라당 안상수 의원과 여인국 과천시장을 맹비난하면서 일파만파로 확산돼 가고 있다.
급기야 여 시장의 주민소환까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부 회원들이 반대의견을 개진하는 과정에서 소외계층을 비하하는 글과 발언이 이어져 계층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보금자리주택 정책에 찬성하는 한 네티즌이 “집 없는 세입자들에게 집을 마련할 기회를 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글을 올리자 카페의 한 회원은 “임대주택을 분양 받으려면 안양이나 의왕에서 분양을 받지, 왜 과천에서 받으려고 하느냐, 과천에서 살려면 열심히 일해서 집을 사라”며 비꼬았다.
또 지난 17일 중앙공원에서 열린 자유토론회에서 문원동 한 세입자가 “과천의 세입자는 영원히 세입자로 살아야 되느냐, 8∼9억원이 넘는 아파트에서 사는 주민들이 집 값 떨어진다고 하면 너무 한 것 아니냐”고 발언하자, 반대론자들이 욕설과 함께 토론회장에서 퇴장시키는 일까지 발생했다.
또 다른 카페 회원은 “과천은 현재 7만여명이 거주하고 있는데 보금자리주택으로 4만여명이 입주하면 주민들을 위한 복지비가 줄어든다”며 보금자리주택 정책을 반대했다.
이건 가진 자의 이기심이자, 횡포이다. 지극히 민주적이지도 않고 정당한 명분도 없다.
옛날 명문가 집은 굴뚝을 지붕위로 내지 않고 마루 밑으로 냈다고 한다. 보릿고개 시절, 서민들이 끼니를 거를때 양반 집 굴뚝에서 밥 짓는 연기가 나면 혹 마음이 상 할까봐 연기가 보이지 않도록 마루 밑으로 굴뚝을 낸 것이다.
과천은 전국에서 살기좋은 도시로 정평이 나 있다. 이는 집 값이 비싸서가 아니라 천혜의 자연경관과 도시의 기반시설, 주민복지 등이 다른 지자체에 비해 잘 되어 있기 때문이다.
과천시가 집 값 비싼 도시가 아닌 살기좋은 도시로서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굴뚝을 마루 밑으로 낸 선인들의 배려와 지혜를 먼저 배워야 할 때 인 것 같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