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전대 ‘출마 포기’ 선언 “수도권 출신이 대표해야”

한나라당 7·4전당대회 친이(친 이명박)계 대표 경선주자로 거론되던 김무성 전 원내대표가 16일 불출마를 선언하고 ‘수도권 대표론’을 주장했다.

 

수도권 후보는 홍준표·나경원 전 최고위원, 원희룡 전 사무총장, 전날 출마를 선언한 남경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수원 팔달) 등이 모두 해당되지만 김 원내대표는 이중 남 의원과 상당히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김 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한나라당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아 제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해 무겁게 고민한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금 이 시기에 우리 당에는 저와는 다른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며 “부산도 어려운 형편이지만 수도권이 정말 어렵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영남 출신인 제가 당대표를 맡는 것보다는 수도권 출신에게 당대표를 맡기는 것이 수도권 선거에서 단 1석이라도 더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불출마 이유를 설명했다.

 

김 전 원내대표가 출마를 포기함에 따라 친이계 대표주자는 원 전 사무총장과 나 전 최고위원 중 한명으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나 원 전 사무총장에 무게중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본격 대표경선 행보에 나선 남 위원장은 이날 오전 첫 정책발표를 위한 기자간담회를 통해 ‘교육개혁 비전’을 밝히고, 대학교육 책임제와 고등학교 의무교육·중고령 재교육 책임제를 실천과제로 한 ‘국민교육 책임제’를 제시했다.그는 반값 등록금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교육개혁이라고 지적하고, “내년부터 대학교 등록금의 45%를 지원하고, 매년 지원금을 단계적으로 인상해 오는 2022년에는 등록금의 75%를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원방식에 대해서는 “일괄적 지원방식은 반대하고, 차등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면서, 가정형편과 학교·학과 등에 따른 차등 지원의 기준을 제시했다. 특히 남 위원장은 현재 총 324개인 대학을 구조조정해 연구중심대학 100개, 직업·평생교육 중심대학 200개로 재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고등학교 의무교육 실천을 위해 도서 및 농어촌 등 취약지역과 저소득층을 위주로 수업료의 50%를 지원하고 매년 지원비율을 5%씩 늘려 2022 년부터 모든 수업료를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남 위원장은 “예산은 있다. 국민교육책임제를 이루겠다는 정책의지만 있으면 꿈을 실현할 수 있다”며 “꿈의 실현은 감세정책 철회로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