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철 애물단지 전락, 분당선 지연 탓”
1조원의 예산을 쏟아붓고도 운행이 중단돼 ‘애물단지’로 전락한 용인경전철에 대해 전 용인시장들과 시의회 의장 등은 “분당선 개통과 지역개발 사업 지연 등이 경전철 사업 추진을 가로막는 원인”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용인시의회 경전철 특별조사위원회(위원장 지미연)는 31일 오후 예강환·이정문 전 시장과 이우현 전 시의회 의장을 각각 증인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경전철 추진 배경 및 수요예측 잘못 등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민간사업자와 용인시가 경전철 건설사업 협약 당시 시의회 의장을 지낸 이 전 의장은 “당시 교통 민원이 폭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가 인정한 국토개발연구원의 용역 결과가 나와 필요성을 판단하게 됐고, 시 발전에 큰 디딤돌로 생각해 추진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시의회가 감시와 견제를 소홀히 한 것 아니냐”는 시의원들의 추궁에 “당시 시의회는 각종 문제점에 대해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집행부를 추궁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등 시의장으로서 할만큼 했다”고 반박했다.
이 전 의장은 특히 “용인경전철 문제는 2009년 개통돼 경전철과 연계될 예정이던 분당선 공사가 지연되고, 관내 곳곳의 각종 개발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예 전 시장도 “용인경전철은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수단이기보다 분당선 환승이 주기능이었다”며 “분당선이 제때 개통됐다면 이같은 경전철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민간 시행사와 용인시 사업 협약 당시 시장을 역임한 이 전 시장은 마지막 답변자로 나서 수요예측 부실 여부 등을 놓고 특위 위원들과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 전 시장은 “사업에 1개 업체만 제안서를 제출한 상태에서 협약을 체결한 것은 잘못”이라는 지미연 위원장의 질의에 “법적으로 문제가 없었다”고 맞받아쳤다.
그는 또 “용인경전철과 부산 김해 경전철 협약서가 95%이상 같고, 동생이 경전철 일부 구간 공사에 참여했다”는 질의에는 “모른다”고 일관, 시의원들의 비난을 사기도 했다.
한편 시의회 경전철 조사특위는 경전철 업무를 추진하다 퇴직한 전·현직 공무원과 업체 관계자 등 7명을 증인으로 1일까지 진행된다. 용인=강한수·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