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당권-대권 분리등 전대 ‘핵심쟁점’

비대위 “현행대로 유지”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30일 7·4전당대회 당헌·당규 개정과 관련, 핵심쟁점인 당권-대권 분리 규정과 대표-최고위원 선출방식 등 핵심 쟁점에 대해 ‘현행 유지’로 최종결론을 내렸다.

 

비대위는 ‘데드라인’으로 정한 이날 난상토론을 벌인 끝에 선거인단 규모를 21만명으로 확대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개정문제는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현행 당헌·당규가 그대로 적용되게 됐다.

 

이는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 등을 요구한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몽준 전 대표, 친이(친 이명박)계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은 반면 현행 규정 유지를 주장한 박근혜 전 대표의 뜻은 그대로 수용된 것이어서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이번 결정에 따라 대선주자들은 이번 전대에 출마할 수 없게 됐으며, 특히 박 전 대표가 지난 19일 황우여 원내대표(인천 연수)와의 회동에 이어 이날도 현행 유지 방침을 거듭 천명한 것을 놓고 ‘박심(朴心) 논란’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비대위 19명 중 친박계보다 친이계 비대위원이 훨씬 많아 표결을 할 경우 결과가 뒤집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으나 ‘후폭풍’이 우려됨에 따라 위원장에게 일임하는 형식으로 표결은 실시되지 않았다.

 

비대위는 대선주자들에게 상임고문 등의 역할을 주고 예비 대선후보 등록시점도 현행 대선 240일 전에서 365일 전으로 앞당기는 방안, 당 대표가 최고위원 2명을 직접 지명하는 것 등 이른바 ‘중재안’으로 제시된 방안 등에 대해서는 당헌·당규소위에 일임해 논의키로 했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8차례 회의에서 당권-대권 분리 규정 개정문제와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문제를 놓고 열띤 토론이 있었으며 끝까지 의견이 팽팽했다”며 “합의된 부분은 합의된 대로, 합의가 안된 부분은 현행 규정을 따르도록 결정한다”고 밝혔다.

 

정 비대위원장은 “미세한 부분은 당헌·당규소위에서 논의하기로 했다”면서 “그동안 거론됐던 중재안에 대해서도 소위에 위임했다”고 덧붙였다.  당 관계자는 이같은 비대위의 결정에 대해 “대선주자가 참여하지 않고 또다시 ‘대리전’을 벌이게 됨에 따라 이번 전대가 여론의 관심을 끌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