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전대 규칙 막판까지 진통

오늘 마지막 회의… 비대위 “당헌·당규 개정 합의 못보면 표결”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7·4 전당대회 관련 당헌·당규 개정을 놓고 30일 마지막 회의를 열 예정이어서 일부 핵심쟁점에 대한 표결실시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문제와 대표-최고위원 선출 분리 문제에 대해 비대위원간 견해차가 여전하고,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지난 25일 의원총회에서 “30일 오후 9시까지 합의되지 않으면 표결에 부치겠다”고 밝힌 바 있기 때문이다.

 

비대위는 지난 27일부터 28일 새벽까지 난상토론을 이어갔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가장 큰 이슈인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문제와 관련, 친이(친 이명박)계 비대위원들은 현행 ‘대선 1년6개월 전 분리’에서 ‘대선 6개월 혹은 1년 전 분리’로 개정, 사실상 대권주자들이 이번 전대에 출마할 수 있도록 하자고 주장한 반면 친박(친 박근혜)계 비대위원들은 현행 규정 유지를 강력하게 요구,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문제도 난항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문제가 친이·친박간 대립이라면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문제는 초선 소장파와 중진들간 줄다리기가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초선 소장파들은 당 대표 권한 강화를 위해 분리 선출을 요구한 반면 중진들은 대표가 최고위원 2명을 지명하는 등 일부 권한을 강화하는 선에서 현행 규정대로 통합 선출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장파는 현행대로 대표-최고위원을 통합 선출했을 경우 또 다시 ‘봉숭아 학당’이 될 것을 우려하는 데 비해 중진들은 분리 선출이 이뤄질 경우 대표 경선에만 초점이 맞춰져 최고위원 경선은 ‘2부 리그’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30일 밤 9시를 ‘토론 마감시간’으로 정한 정 비대위원장이 표결을 선언할 지 여부가 관심을 끄는 가운데 친박계는 합의를 보지 못할 경우 후유증을 우려, 표결 대신 현행 규정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대위는 30일 당헌·당규 개정을 확정·의결한 뒤 다음달 7일 전국 상임위 및 전국위원회에서 이를 추인받을 방침이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