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7·4 전당대회 관련 당헌·당규 개정 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다.
비상대책위원회는 27일 오후 당헌·당규 개정 논의를 시작, 28일 새벽까지 난상토론을 이어갔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오는 30일 마지막 끝장토론을 하기로 했다.
이날 2시20분 시작된 회의는 세 차례 정회를 거쳐 자정을 넘기면서 계속됐으나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문제를 놓고 친이(친 이명박)계와 친박(친 박근혜)계간 접점을 찾지 못하고 진통만 거듭했다.
김문수 경기지사의 오른팔인 차명진 의원(부천 소사)과 정몽준 전 대표 측근인 신영수 의원(성남 수정) 을 필두로 친이계는 당권ㆍ대권 분리규정을 개정, 현행 ‘대선 1년6개월 전 분리’에서 ‘대선 6개월 혹은 1년 전 분리’로 개정, 사실상 대권주자들이 이번 전대에 출마할 수 있도록 하자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친박계 의원들은 현행 규정 유지를 강력하게 요구, 팽팽하게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비대위원 중에는 친박계보다 친이계가 숫적으로 우세, 30일 투표를 실시할 경우 의외의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표가 황우여 원내대표(인천 연수)와의 회동에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과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에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의원·당협위원장 설문조사에서도 현형 유지가 다소 높은 상황에서 투표를 강행할 경우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같은 결론이라도 얼마나 치열하게 고민하고 토론했냐에 따라서 이후에 효력이 달라질 수 있고, 같은 약을 써도 얼마나 정성을 기울여서 탕약을 만드냐에 따라서 약효가 달라진다”면서 “좋은 결론을 잘 도출해냈다는 칭찬의 소리를 듣고 싶고, 모두 다 그런 칭찬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았달라”고 당부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