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최종 결론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26일 7·4 전당대회 선거인단 규모와 관련, 21만여명으로 확대하고 이중 2030(청년) 선거인단 1만명을 따로 구성하기로 했다.
배은희 대변인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선거인단 구성은 소위에서 논의해서 30일 정도에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날 선거인단 규모에 대해서는 결정했지만,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문제와 대표-최고위원 분리선출 문제에 대해서는 오후까지 비공개로 난상토론을 이어갔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비대위는 27일 전체회의와 소위 등을 열어 선거인단 자격 등 구체적인 구성문제와 과 당헌·당규 개정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한 뒤 오는 30일 최종 의결할 방침이다.
앞서 차명진 의원(부천 소사)은 오전 공개회의에서 정의화 비대위원장에 “유감을 표명하겠다”며 직격탄을 날려 시선을 모았다.
차 의원은 “솔직히 아침에 이 자리에 나와야 되느냐 하는 그런 고민을 했다”면서 “주요 언론에서 ‘당권·당규 결국 박심(朴心)대로’ 라고 결론을 미리 냈는데 정 위원장께서 오늘 토론회가 쓸모없는 토론회인지 밝혀달라”고 지적했다.
차 의원은 특히 “위원장이 이런 보도가 나오도록 발언을 했다”면서 “당권-대권 분리 사항을 고치기 위해서는 적어도 75% 이상의 고치자는 뜻이 있어야 하는데, 조사결과를 보니 47%밖에 안 나왔다, 이 정도면 어렵지 않느냐고 자의적인 해석을 했는데, 저는 오히려 거꾸로 해석한다. 바꾸자는 게 47% 나왔으면 많이 나온 건데, 어떻게 그렇게 해석하실 수 있느냐”고 거듭 추궁했다.
한편 비대위는 이날 산하 3개 소위에 대한 구성을 마쳤다.
‘당헌·당규 개정 및 공천제도개선 소위’(위원장 김학송)에는 경기 의원 중 차 의원이 소속됐으며, ‘정치선진화 및 국정쇄신 소위’는 원유철 국방위원장(평택갑)이 위원장에, 박순자 의원(안산 단원을)이 위원으로 포함됐다. ‘비전 및 당 정체성 소위’(위원장 김성조)에는 정진섭(광주)·박보환(화성을)·신영수 의원(성남 수정)이 소속됐다.
소위는 주2회 회의를 개최하고, 심의 내용은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의결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