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대권·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난항’… 7월 전대, 선거인단 규모만 확대 가능성
한나라당의 7·4전당대회 당헌·당규 개정과 관련,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몽준 전 대표가 주장하는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과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이 ‘난항’을 빚고 있다.
당 비상대책위원회가 25일 의원총회에서 공개한 의원·당협위원장 2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당헌 개정 관련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권-대권 분리 개정 여부에 대한 찬반 의견에 대해 각각 50.9%, 47.3%로 ‘현행 유지’가 다소 높았다.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에 대해서도 ‘현행 유지’가 60.0%인 데 반해 ‘분리 선출’은 38.2%에 불과했다.
그러나 선거인단 확대 규모는 ‘14만명 책임당원 전체 수준’이 44.7%로, ‘유권자의 0.6%인 23만명’(30.1%)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설문조사의 응답률은 65.2%(165명)였다.
이 같은 결과는 박근혜 전 대표가 지난 19일 황우여 원내대표(인천 연수)와 회동에서 밝힌 당권-대권 분리 개정·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반대’, 선거인단 규모 확대 ‘동의’ 의견과 일맥상통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전대에서는 현행 당헌·당규를 적용하되 선거인단 규모만 크게 늘리는 선에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오전 의총 인사말에서 당헌·당규 개정과 관련, “늦어도 모레(27일)까지 ‘끝장토론’을 벌이고 30일 오후 9시까지 결론이 나지 않으면 표결에 부칠 것”이라고 밝혔으나 이어 기자들과의 오찬에서는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바뀔 가능성이 없어보인다”고 전망했다.
한편 오전 비공개로 진행된 의총에서는 차명진(부천 소사)·박준선(용인 기흥)·장제원·김효재 의원 등 친이(친 이명박)계 의원들이 나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개정을 강력하게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친이계 의원들은 새로운 당대표가 누구든 당을 잘 이끌고 나서 대통령 경선에 출마할 기회를 열어둬야 한다는 점과 유력한 대권 후보 중 전당대회에 나오겠다고 입장을 밝힌 사람들도 있으니까 기회균등 차원에서 기회를 나눠주고 열어주어야 한다는 점 등을 근거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의 폐지를 주장했다고 이두아 대변인이 전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