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비상대책위 회의서 ‘당권-대권분리’ 관련 지적
한나라당 정의화 비상대책위원장은 23일 ‘7·4전당대회 룰’과 관련, “민감한 정치적인 사안일수록 당내 실세나 특정인의 한마디로 결정될 것이 아니라, 정해진 민주적 절차에 의해 당론이 모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비대위 활동이 훌륭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높은 관심과 이해당사자의 활발한 의견개진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도 “비대위가 최고위원회의 의결권을 위임받은 공당의 기구”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같은 발언에 대해 당내에서는 당권-대권 분리 문제와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문제 등과 관련, 분리를 반대하는 박근혜 전 대표와 분리를 찬성하는 김문수 경기지사·정몽준 전 대표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는 큰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는 선거인단 확대문제에 대해서는 “선거인단의 대폭적인 확대를 추진해야 하고, 특히 20∼30대 참여 확대방안을 마련하는 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이번 전당대회가 동원선거·금권선거·줄세우기 선거라는 과거의 얘기가 나오지 않는 한국정당 사상 최초의 ‘3무(無) 선거’가 돼야 한다”면서 “이러한 당내 선거문화혁명이 가능해져야 한나라당이 명실상부한 선진국형 민주정당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희수 사무총장은 당헌·당규 개정과 관련, 의원 및 원외 당협위원장 설문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찬·반이 예민한 당권-대권 분리문제와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문제는 제외하고 선거인단 확대문제만 공개된 가운데, 전체의 65%(165명)가 응답했으며, 이중 60%(99명)가 ‘선거인단 확대’에 찬성했다.
이중 43.4%는 책임당원 전체인 14만명으로, 30.3%는 23만명(유권자의 0.6%)으로 확대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안형환 대변인이 전했다.
비대위는 오는 25일 오전 의원총회에 이어 오후 국회의원-원외 당협위원장 연석회의를 열고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한 뒤 30일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개정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