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복지경기포럼서 ‘맞춤형 무한복지’ 제시

“전 생애 걸쳐 일자리·보육 등 필요할 때 차별없이 제공돼야”

차대 대선의 최대 화두로 ‘복지’가 떠오르는 가운데 김문수 경기지사가 ‘맞춤형 무한복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공식적으로 제시하고 나섰다.

 

‘맞춤형 무한복지’는 틀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공하는 복지가 아니라 필요한 사람에게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복지로, 김 지사의 지난해 도지사 선거 때 복지공약이었다.

 

김 지사는 17일 경기중기센터에서 열린 제1회 복지경기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의 논쟁이 있지만, 우리가 지향해야 할 무한복지는 ‘위험에 처한 국민이면 누구든지’ 무한사랑으로 섬기는 복지여야 한다”며 자신이 구상해온 ‘맞춤형 무한복지’를 제시했다.

 

‘맞춤형 무한복지’는 전 생애에 걸쳐서 필요한 때에 일자리, 보육, 생계, 노후, 건강의 위기를 해소하고 성(性)과 연령, 장애, 인종의 차별없이 필요한 것이 제공되는 복지를 뜻한다.

 

또 김 지사는 “정해진 법률과 제도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공되는 복지가 아니라 일자리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일자리를, 의료비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의료비를 제공하는 식으로,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 진정한 복지”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맞춤형 무한복지의 3대 목표로 ▲정의로운 사회 실현 ▲지속가능한 복지 ▲가족친화적 복지를 내세웠다. 또 5대 전략으로 ▲현장중심 섬기는 복지 ▲수요자중심 통합복지 ▲성장과 함께하는 일자리 복지 ▲무한사랑의 나눔복지 ▲세계 속의 지구촌 복지를 제시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할 방안으로 그는 기초노령연금 25만원 인상, 무한돌봄센터를 통한 통합복지 실천, 사회적기업 자립지원 자금 조성, 20%대인 자원봉사참여율 50% 상향 등 구체적 방법론을 덧붙였다.

 

김 지사는 “출산율 꼴찌, 자살률 1위라는 현실을 해결하지 못하고는 대한민국의미래가 없다”고 새로운 보육정책의 필요성을 전제하고 나서 “보육과 교육, 일자리와 의료 등 복지를 하나로 묶어서 현장과 수요자에게 맞는 ‘맞춤혐 무한복지‘로 새로운 복지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김상균 서울대 교수, 홍선미 한신대 교수, 김희연 경기복지재단 정책실장, 황재경 의왕시 아름채노인복지관 관장 등 학계와 현장 전문가가 나와 ‘맞춤형 무한복지’의 성과와 발전방향 등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김동식·구예리기자 ds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