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수원비행장 공방 재점화 조짐

민주 김진표 원내대표 “비행장 이전”… 한나라 “비상활주로 이전” 온도 差

수원 공군비행장과 관련, 비상활주로 이전 지속추진이냐 비행장 이전이냐를 놓고 정치권의 신경전이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경기도·수원시·화성시가 공군본부와 이전비용 분담조건으로 비상활주로를 비행장내로 이전하기로 합의한 뒤 협의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김진표 신임 원내대표(수원 영통)가 비행장 이전문제를 다시 주장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수원비행장 비상활주로 이전은 한나라당 정미경 의원(수원 권선)이 지속 주장해 온 사안이고, 황우여 원내대표(인천 연수)는 원내대표 경선과정에서 수원비행장 비상활주로 이전에 대한 정 의원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그러나 수원 지역내 여야 의원이 수원비행장 주변 주민 재산권 침해 및 소음 피해 방지와 보상에는 의견을 같이하면서도 대조적인 방법을 추진, 혼선을 주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 김 원내대표는 지난 15일 경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수원비행장 이전문제와 관련, “지금 상황에서 현정부에는 기대하기 어려워졌다”면서 “전략을 바꿔서 공항·발전소·액화천연가스 인수기지주변대책특위에서 특별법을 연내에 통과시키려고 한다”(본보 16일자 4면)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가 밝힌 특별법은 지난 2009년 2월12일 김 원내대표가 대표발의한 ‘도심항공작전기지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으로 현재 국방위 법안심사소위에 계류돼 있다.

 

특별법이 특위를 통과할 경우 비행장 이전에 무게중심이 실릴 수 있으나 비용이 만만치 않아 정부의 동의여부가 관건이다.

 

국방부는 공군본부에 ‘공항 등 주변지역 대책특위 대응 T/F’ 구성에는 동의하고 있으나 수원비행장 이전문제는 “비상활주로 해제와 대체시설건립 문제를 협의 중”이라며 후순위로 밀어놓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비상활주로 이전추진도 200억원에 달하는 이전 비용에 대한 지자체간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어 당초 목표였던 오는 2013년까지 완료될지 의문이다.

 

김 원내대표측은 16일 “비상활주로를 비행장내로 이전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면서 “전쟁이 나면 비행장의 메인활주로만 공격하고 비상활주로는 공격을 안 하느냐”고 반문했다.

 

김 원내대표측은 그러나 ‘비상활주로 이전추진을 긍정평가한 황 원내대표와 상반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잘 협의해 봐야죠”라며 짧게 답변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