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정당 안착 ‘수도권·중도론’ 시동

김진표 원내대표 출범 의미와 과제

孫대표 중립 입장도 당선 견인… 대선 탄력 전망

장관 인사청문회·한미 FTA 처리 등 첫 시험대

경기도내 출신인 재선의 김진표 의원(수원 영통)이 제1야당인 민주당 원내 사령탑에 오른 것은 ‘수도권 원내대표론’ 호소가 설득력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수도권의 중요성을 감안해 의원들이 전국정당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 작용된 결과라고 풀이된다.

 

민주당은 지난 4·27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의 텃밭인 성남 분당을에서 손학규 대표가 승리했다. 성남 분당을의 승리가 민주당의 승리가 아닌 지역정서에 맞는 인물선택의 승리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은 전국정당으로서 안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내년 총선과 대선의 바로미터가 됐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손학규 대표(성남 분당을)에 이어 원내대표까지 도내 출신을 당선시켜 ‘호남 물빼기’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원내대표 경선에서 호남 출신인 강봉균·유선호 의원이 동반 출전해 표가 분산된 것도 유리하게 작용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손 대표가 이번 경선에서 특정 의원 편에 서지 않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의원들에게 자율적으로 맡긴 점이다. 이는 정세균 최고위원계인 김 원내대표가 지난 4·27 분당을 보선에서 손 대표 당선을 위해 불철주야 최선을 다한 것이 주효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한나라당이 인천 출신의 황우여 의원(연수)을 원내대표로 선출된 이른바 ‘수도권 위기론’도 당선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손학규 대표(성남 분당을)를 포함, 당의 ‘투톱’이 모두 수도권 출신으로 채워지게 됐다. 손 대표 또한 내년 대선에서 보다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무엇보다 김 원내대표는 이번 경선에서 중도개혁을 표방한 것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야당간 정책연대를 포함한 야권재편 논의와 맞물려 민주당 내에서 정동영·천정배 최고위원 등 비주류를 중심으로 진보로의 ‘좌(左)클릭’ 압력이 높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엘리트 경제관료 출신인 김 의원을 선택했다.

 

당의 전통적인 중도개혁 노선이 총선과 대선 승리의 키워드라는 밑바닥의 수도권 대세론이 확인됐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김 원내대표가 내세운 중도개혁에 대한 당내 견고한 지지세를 동력으로 삼아 원내에서 진보와 중도를 어떻게 갈등을 아우를 수 있을지는 과제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또 5·6 개각에서 기용된 장관 인사청문회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등도 김 원내대표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 총선을 앞두고 지역구 조정과 석패율제 도입 등 여당과의 선거법 협상 과정에서 소속 의원들의 이해관계를 배려하면서도 정치개혁을 바라는 국민 여론도 충분히 반영해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