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잡는 ‘미추누리’ 전면 재검토해야”

자전거 이용객 4년새 45명 사망… 낮은 점수 업체 선정 특혜의혹도 불러

인천시가 100억원을 투입, 시민들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통해 저탄소 녹생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며 야심찬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는 ‘미추누리’자전거(미추누리)가 제조업체 선정과정부터 잡음이 끊이질 않더니, 급기야 인명사고를 불러올 치명적 구조 결함이 발견돼 사업의 전면 재검토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인천시는 친환경 교통정책의 일환으로 올해 시민들에게 1만5천대(15억원)의 미추누리를 보급하고 앞으로 5년 동안 15만대(100억원)를 공급할 예정이다.

 

시민 이용 활성화를 위해선 인천메트로와 환승 할인이 가능한 무선인식(RFID) 칩을 부착, 지하철 기본요금의 50%를 할인받도록 할 계획이다.

 

그러나 시의 이같은 계획과 달리 대당 28만2천원에 12세 이상 시민에게 10만원을 보조해 주는 미추누리는 판매 개시와 동시에 대리점 모집과정에서 일반 자전거 판매업소와 시비보조 형평성문제가 제기됐다.

 

또한 실제로 자전거를 탄 시민들에 의해 모니터링한 결과, 낮은 점수를 받은 특정 업체가 국내 유수 업체를 제치고 선정돼 특혜의혹을 불러 일으켰다.

 

더욱이 각종 의혹은 차치하더라도 인명사고를 불러올 치명적 구조결함 문제로 시가 앞장서 시민들을 위험에 몰고 있는 형국이다.

 

이때문에 시민들이 안전한 미추누리를 이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시가 프로젝트에 대한 재검토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특히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시의 자전거 이용객 교통사고는 자전도 전용도로 개설 이전인 지난 2006년 304건에서 지난 2009년 469건 등 4년 동안 1.54배가 늘었다.

 

이 기간 동안 사망자 수도 45명으로 자전거 안전성 문제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이광호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 사무국장은 “앞뒤 검토 없이 일방적으로 개설한 자전거 전용도로가 시민들의 불편으로 반발을 산 전철을 되밟지 말아야 한다”며 “민·관합동 미추누리 안전성 검증위원회를 꾸려 점검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한 안정성이 높은 자전거를 시민들에게 보급해야 또다른 역풍을 맞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