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업계 생계 위협 화환규제 철회하라”

꽃집·배달업체 “日지진 겹쳐 이중고” 대책 촉구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수출 감소와 공무원 화환 수수금지 조치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는 화훼업계가 대책마련을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지역을 비롯 전국 농가 및 꽃집, 플로리스트, 유통상인들, 꽃배달업체 등 500여명은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전국농민결의대회에 대규모로 참석, 집단행동에 돌입하기로 결의하고 생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도내 화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졸업과 인사철이 시작되는 2월부터 밸런타인데이와 환경미화 등 꽃 수요가 봄을 맞아 절정에 달했지만 현재 경매 단가와 수량은 전년에 비해 30~40% 가량 줄어든 상태다.

 

이는 지난 2월 국민권익위원회가 공무원들이 승진·전보때 ‘3만원 이상의 꽃 선물’을 받으면 인사상 불이익을 주겠다고 밝힌 이후 대목 수요가 꺾이면서 봄장사에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달 발생한 일본 대지진으로 수출도 30% 정도 줄어든 것으로 추산되면서 이 물량이 내수로 유입돼 시장을 더욱 침체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안산에서 난 농장을 경영하고 있는 한모씨(56)의 경우 수요 감소로 출하물량이 전년에 비해 40%가 줄어 이 물량이 고스란히 농장에 재고로 쌓인 상태다.

 

또 꽃시장에서 도매업에 종사하는 정모씨(62)의 가게는 한달 전보다 꽃값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는데도 손님이 급격히 줄면서 매출이 10분의1 수준으로 하락해 경영난을 겪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농협과 한국화훼생산자협의회는 일본 대지진 후 수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 농가들을 돕기 위해 매주 화요일을 ‘꽃 사는 날(花요일)’로 정하고 농림수산식품부 및 유관기관과 함께 범국민 꽃 소비 캠페인을 벌였지만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처럼 악재가 겹치면서 화훼업계는 한국화훼협회를 중심으로 ‘화훼산업총연합회(가칭)’를 구성해 권익위를 항의방문하고 임시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대책마련을 위해 한 목소리를 냈다.

 

집회에 참석한 고양의 화훼 업계 종사자 김모씨는 “권익위의 꽃 선물 수수 금지 조치는 공직자 부정부패를 척결하기는 커녕 화훼업계의 어려움만 가중시킬 뿐”이라며 “화훼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