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도시개발公’ 설립 찬반 가열

시의회 “재정부담” vs “뉴타운 등 산적… 설립 불가피”

광명시가 추진하는 (가칭)광명도시개발공사 설립을 놓고 찬반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5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그동안 설립을 추진했던 시설관리공단과 지방공사를 합쳐 ‘복합형 지방공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경기도 등 유관기관 의견을 수렴하고 8월께 주민공청회 등을 거쳐 연말까지 설립 타당성검토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또 올해 말까지 도시공사 설립과 관련한 조례 제정, 정관, 설립 등기 등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시는 내년 상반기 도시개발공사 설립을 목표로 타당성 용역비 6천500만 원을 다음달 추경에 반영, 설립을 가시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도시개발공사 설립과 관련해 시의원들 간 찬반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반대입장인 의원들은 다른 지자체의 사례에서 보듯 누적 부채 등으로 시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다.

 

유부연 의원은 “소하역세권지구 시공사 부도 상황 및 LH의 막대한 적자로 인해 도시개발공사 설립 이후의 사업도 적자가 예상된다”며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이에 반해 찬성측 의원들은 도시 규모나 뉴타운과 보금자리 등 산적한 도시 특성을 고려할 때 도시개발공사 설립은 불가피하다는 당위론을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 소속 조화영 의원은 “소하역세권과 보금자리주택지구 사업이 끝나는 2020년 이후에는 관리공사로 운영이 가능하고 공기업 선진화 방안으로 3년마다 시행 기준의 조정이 가능하다”며 찬성 입장이다.

 

한편 시가 추진하는 복합형 지방공사는 경기도 내 하남, 광주, 남양주, 안산, 김포 등 5개 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다.  광명=김병화기자 bh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