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산물 음식점 손님 급감 국내산 표시도 무용지물
일본 원전 대폭발로 인한 방사능 공포 확산으로 해산물 기피현상이 두드러지면서 횟집, 조개구이집 등 도내 해산물 음식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일부 횟집들은 방사능 공포로 인한 매출감소가 비수기인 여름철까지 지속, 장기 불황으로까지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며 인원감축 계획까지 세우는 등 고심하고 있다.
4일 오후 수원시 장안구 B횟집. 최근 매출감소로 인해 1주일에 2~3차례씩 공급받던 횟감을 1차례씩만 공급받고 있지만 어항에는 횟감들이 가득 들어차 있었다.
방사능 공포로 인해 손님 수가 절반 이하로 줄면서 제철인 봄을 맞아 들여온 도미와 도다리 등의 횟감들이 거의 팔려나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B 횟집은 이 불황이 비수기인 여름까지 이어질 것을 우려하며 종업원 5명 중 1명을 줄일 계획까지 세우고 있다.
이와 함께 화성시 동탄면의 D 횟집과 수원시 권선구 C 횟집 등도 주말마다 7~12차례씩 들어오던 단체 예약이 아예 끊기면서 매출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에 이들 횟집들은 일본 식재료를 사용하는 메뉴를 빼고 국내산 활어를 사용한다는 원산지 표시 안내판을 부착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극히 미미한 상태다.
방사능 공포 확산으로 운영난을 겪는 곳은 날 생선을 취급하는 횟집뿐만이 아니다.
조개구이집과 생태·동태집, 해물탕집, 해산물 뷔페 집 상당수도 극심한 매출감소로 고통을 받고 있다.
수원시 장안구 J 조개구이집과 B 아귀탕, 수원시 영통구 D동태집과 H 해물탕집 등의 경우 30~50%씩 매출이 줄었으며 안양시 동안구의 L 해산물 뷔페와 S샤브샤브집 등도 손님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이에 대해 B횟집 관계자는 “도미, 도다리 등의 봄철 생선을 찾는 손님들로 북적일 시기지만 단체예약 손님은 아예 찾아볼 수 조차 없는 상황”이라며 “이런 추세로 나가다가는 상당수 영세 횟집들이 부도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