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전국 주요거점 ‘1시간 30분대’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확정

국토해양부가 오는 2020년까지 전국 주요도시를 KTX 고속철도망을 통해 1시간30분대로 연결하는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확정했다.

 

3일 경기도와 국토부에 따르면 시간당 230km 이상인 고속(화) 철도가 현재는 경부고속철도 368.5㎞에 불과하지만 오는 2020년에는 2천362.4㎞로 늘어나게 된다.

 

이럴 경우 1시간30분대 고속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인구는 현재 전체의 60%에서 83%로 늘어날 전망이다.

 

철도연장은 3천557㎞에서 4천934㎞로 늘어나며, 복선화율은 49.6%에서 79.1%로, 전철화율은 60.4%에서 85%로 높아지게 된다.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철도 건설계획, 소요재원 조달방안 등을 담은 10년 단위 중장기 투자계획으로 지난해 9월 발표한 ‘미래 녹색국토 구현을 위한 KTX 고속철도망 구축전략’의 후속 절차로 나온 것이다.

 

계획은 전국 주요거점을 90분대로 연결, 하나의 도시권으로 통합한다는 목표로 ▲주요거점의 고속 KTX망 연결 ▲대도시권 30분대 광역·급행 철도망 구축 ▲녹색 철도물류체계 구축 등을 중점 추진과제로 설정했다.

 

주요 추진계획으로는 고속철도 사업 적기 완공, 일반철도 고속화를 통해 KTX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이번 철도망 구축계획에는 경기지역과 연계된 다수의 노선이 포함, 도민들의 철도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도는 전망하고 있다.

 

우선 수도권 고속철도에는 수서~평택 노선(61km)이 포함돼 총 3조7천231억원의 예산이 투입, 오는 2014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일반철도(복선전철)의 경우 도와 연계된 노선은 수서~용문(44.1㎞, 사업비 1조4천971억원), 월곶~판교(35.8㎞ 연장, 사업비 2조6천501억원), 여주~원주(21.9㎞, 사업비 6천329억원), 인덕원~수원 노선(35.3㎞, 사업비 2조4천733억원) 등 4개 사업으로, 2015년까지 착수된다.

 

교외선(단선전철)으로는 능곡~의정부 노선(35.9㎞, 사업비 8천886억원)이 포함됐으며, 기 시행중인 11개 사업도 반영됐다.

 

특히 광역철도의 신규사업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3개 노선이 포함됐으며, 수서~동탄 구간은 KTX와 공용화된다.

 

이와 함께 기 시행중인 분당선 오리~수원 노선(19.5㎞, 사업비 1조3천967억원) 등 9개 사업과 추가 검토 대상 사업인 경부고속선 평택~오송 노선(47.5㎞, 사업비 3조604억원) 등 7개 사업도 이번 계획에 반영, 사업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

 

국토부는 이같은 계획 실행을 위해 ▲고속철도 16조원 ▲일반철도 46조원 ▲광역철도 26조원 등 총 88조원의 예산이 들 것으로 전망하고, 국비 59조원, 지방비 3조원, 민자유치 등으로 26조원을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철도망 확충이 차질없이 이뤄질 경우 철도 여객수송 분담률은 2008년 15.9%에서 2020년 27.3%로, 화물수송 분담률은 8%에서 18.5%로 늘어날 것으로 국토부는 예측했다.

 

또 연간 6조8천억원의 사회적 편익과 774만t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연간 91조원의 지역 총생산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국토부의 이번 계획을 통해 전국이 90분대 생활권으로 진입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수도권이 하나의 경제 생활권으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발판이 준비된 만큼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구축계획을 4일자로 확정·고시한다.

 

김동식·김규태기자 kkt@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