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임시국회, ‘구제역’ 벼르는 野

초기대응 실패 국정조사·매몰지 지하수 오염 등 이슈화 예고

야당이 4월 임시국회에서 구제역 사태와 침출수 오염 문제 등이 이슈화될 전망이다.

 

민주당 천정배 최고위원(안산 단원갑)은 28일 오전 국회 당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구제역 사태는 인재이자 관재이며, 이명박 정권의 무능·무책임·진실은폐가 구제역 확산의 주범이었다”면서 “4월 국회에서 반드시 구제역 사태에 대한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 최고위원은 이어 “잘못된 대응으로 350만 마리 가축과 8명의 공무원이 희생됐고 3조원이 넘는 예산이 낭비됐다”며 “백신접종 시기를 놓치고 무조건 살처분만 했으며, 무분별한 매몰로 지하수와 식수 오염 등 환경재앙을 불러왔다”고 비판했다.

 

전현희 원내대변인은 구제역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첫 오염사례가 전해진 것과 관련, 브리핑을 통해 “전국의 구제역 가축 매몰지는 4천600여 곳에 달하며 살처분 두수는 340만 마리가 넘는다. 전국의 25%에 해당하는 수치”라며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밝혀진 이상 정부는 전체 매몰지에 대한 정밀검사 실시와 지하수 오염 여부 규명에 즉각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민주당은 이번 4월 국회에서 구제역 침출수 오염문제의 종합대책을 강구하고 부실대처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철저히 따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은 지난 2월 이천시가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의뢰한 백사면 모전리 298 일대 ‘구제역 매몰지 주변 지하수 정밀검사 결과’를 입수해 이천시에 확인한 결과, “침출수에 의해 지하수가 오염됐다고 인정했다”고 주장했다.

 

이 일대는 시설재배농사가 활발한 곳으로, 지난 1월18일 9천16마리의 돼지가 매몰된 이후 지하수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했었다.

 

원자력연구원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 일대 검사지역 지하수 4곳(하우스 3곳과 가정집) 모두에서 가축사체유래물질이 검출됐으며, 이중 하우스1(3.817mg/L)와 하우스2(1.120mg/L)는 수치가 1 이상이어서 침출수로 인한 오염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원자력연구원은 판단하고 있다.

 

유 의원은 “이번 분석결과는 가축 매몰지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확인된 첫 사례”라며 “매몰지침에 따른 양호한 매몰지에서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밝혀진 이상, 정부는 전체 매몰지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해 지하수 오염여부를 밝히라”고 촉구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