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창출·자존감 회복 ‘활기찬 노년’ 돕는다

공공·민간분야 노인일자리사업

고령사회를 앞두고 노인인력 활용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대수명이 높아지면서 퇴직 후 30여년의 노후생활을 준비해야 하는 어르신들에게 ‘일자리’는 소득창출은 물론 자존감 회복과 노후생활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올해에는 정부 주도로 시행됐던 공공분야 일자리뿐만 아니라 민간 주도의 고소득 자립형 일자리 사업이 확대 실시될 계획이다. 현재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 및 지자체가 일자리사업에 참여할 어르신들을 모집하고 있다. 올해 중점 추진되는 시장형 일자리사업과 지역별로 추진되는 노인일자리사업 시행 계획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노인일자리사업은 7개월 동안 매달 36~46시간(교육형은 20시간) 일하고 월 20만원이 지급되는 공공분야 일자리와 초기 종자돈과 교육비 등만 지원하는 민간분야 일자리로 구분된다.

 

공공분야 일자리에는 스쿨존 교통지원, 자원재활용, 환경개선 등 지역사회 개발과 발전을 위한 공익형 사업과 숲생태·문화재 해설, 예절·한자교육 등 자신의 경험과 학식을 전달하는 교육형 사업이 대표적이다. 노-노케어, 다문화가정지원 등 소외계층의 생활안정을 돕는 복지형 사업도 있다. 공공분야의 경우 별도의 선발제한이 없었지만 올해부터는 공익형과 복지형 일자리 참여자격을 기초노령연금수급권자로 제한하고 있다.

 

민간분야 일자리에는 실버카페, 택배사업, 리서치참여, 음식점개업 등 소규모 사업을 통해 수익을 얻는 시장형 사업과 시험감독관, 주유원, 경비원 등 민간업체에 직접 파견돼 일정 임금을 받는 인력파견형 사업 등이 있다.

 

특히 올해는 고소득의 민간 주도 자립형 노인일자리 사업을 추진, 시니어인턴십 3천개 창출을 비롯해 고령자친화형 전문기업(10개 내외)과 직능·직장 시니어클럽(8개 내외) 선정 사업 등을 펼치게 된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오는 4월 1일까지 ‘자립형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할 기업 및 기관 등을 모집한다. 자세한 내용은 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시니어인턴쉽 및 직능·직장시니어클럽(02)6007-9140∼5, 고령자친화형 전문기업 (02)6007-9150∼5, 참여희망 노인 (02)6007-9140∼5

 

류설아기자 rsa119@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