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김해서 “지역주의 완화” “새로운 정치인 발굴 도움” 강조
여야가 석패율제 도입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석패율제란, 지역구 투표에서 떨어진 후보자를 비례 대표 국회의원으로 당선시키는 제도로, 여당은 취약지역인 호남에서 민주당은 영남에서 각각 국회의원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입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한나라당은 23일 전주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석패율제 도입 등을 주제로 애정공세를 폈다.
안상수 대표(의왕·과천)는 “지역주의 완화를 위해 석패율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호남에서 지역주의를 극복해주는데 앞장 서 달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또한 “아깝게 낙선한 인재가 비례대표로 원내에 진출하면 지역발전과 정치선진화를 위해 기여할 것”이라며 “유능한 인재를 발굴해 당의 일꾼으로 키우는데 많은 노력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나경원 최고위원은 “지역주의에 기댄 정당구조가 가치 중심으로 바뀌어야 정당주의가 완성된다”면서 “석패율제가 도입되면 전북 지역에서 한나라당 국회의원이 탄생하고 영남 지역에서 민주당 의원이 탄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원희룡 사무총장도 전날 전주KBS라디오에 출연, “석패율제 도입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면서 “중앙선관위도 공식 의견을 냈으므로 어느 때보다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피력했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이날 김해을 곽진업 후보 선거사무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석패율제도가 지역정당 체제에서 전국정당 체제로 탈바꿈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 대표는 특히 “중앙선관위에서 제안한 석패율 제도는 제가 생각했었던 것보다도 훨씬 구체적”이라며 “지역 정당이 불리한 지역에서 정당활동을 적극적으로 구체화하고 육성할 수 있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당에서도 선관위에서 제안한 석패율 제도를 적극 검토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다만 석패율 제도로 인해서 비례대표제의 본래 취지가 훼손당하지 않아야 할 것”이라면서 “석패율 제도가 오직 중진정치인을 구제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기능했던 일본의 제도를 반드시 극복해야 하고 석패율 제도 도입으로 오히려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정치활동을 하고 민주주의를 펴나가고자 하는 새로운 정치인들의 발굴과 진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