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신용자산 조만간 800조↑ 개인 부채도 상반기 1조 눈앞 부동산 시장에도 큰 악재 작용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0일 기준금리 인상 결정을 내리자 가계의 빚부담이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살인적인 초저금리 현상으로 가계빚이 눈덩이처럼 커진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가계의 대출이자 압박을 키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대출금리 급등 가계빚 경고등
10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가계 대출과 판매 신용을 합친 가계신용은 작년 말 795조4천억원으로 2000년 말의 266조9천억원보다 198% 증가했다.
분기마다 14조3천억원가량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하면 가계신용은 조만간 8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개인의 금융부채도 올해 상반기 내에 1천조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금융권 가계대출잔액은 작년 말 기준 693조원으로 1년 전보다 34조8천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 증가액의 70.8%인 24조6천억원어치가 주택담보대출이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1년 91.9%에서 2009년 143.0%로 뛰어 가계소득을 전액 부채 상환에 사용해도 모자라는 수준이 됐다.
여기에 금리인상까지 더해지면서 가계의 이자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삼성경제연구소는 작년 3분기말 가계부채 기준으로 대출금리가 2%p 오르면 가계의 이자부담은 분기당 11조7천억원에서 16조1천억원으로 4조5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 부동산 시장에 찬물 우려
한은의 금리 인상은 가뜩이나 어려운 부동산 시장에 큰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근 매매시장이 재건축을 중심으로 약세로 돌아섰고, 일부 강세를 보이던 소형아파트값도 상승세가 주춤한 가운데 금리 인상까지 단행되면서 회복 조짐을 보이는듯 했던 매매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전셋값은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지만 수도권 외곽으로 여전히 강세이고, 가을 이사철도 앞두고 있어 전세 불안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상이 곧바로 대출 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주택 매수심리를 위축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은행 박합수 부동산팀장은 “지난해와 올해 두번에 걸쳐 기준금리를 총 0.5% 올렸는데 3개월 기준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는 0.64%가 상승하는 등 기준금리인상이 대출금리에 가파르게 반영되고 있다”며 “집값 상승에 대한 확신이 없는 상태에서 금리가 인상돼 신규로 주택을 구입하려는 수요자들에게 진입장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도 “최근 잇단 금리 인상은 주택 구입자들의 유동성을 옥죄고, 기존 대출자의 이자부담을 높여 주택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소형을 중심으로 일부 회복세를 보이던 매매시장이 계절적 비수기와 맞물려 빠르게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최근 감소했던 급매물이 다시 늘어나고, 거래시장도 얼어붙을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특히 이번 금리 인상은 3월 말로 끝나는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조치의 연장여부를 봐가며 주택을 사려 했던 대기 수요자들의 발목을 잡을 전망이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