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양건 감사원장 후보자 청문회 자질 검증

여,감사원의 중립성 확보 방안 야, 도덕성 자질 문제 제기

국회 인사청문특위는 8일 양건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해 부동산 투기 의혹, 국민권익위원장 조기 퇴진 의혹 등을 중점으로 도덕성과 자질 검증에 나섰다.

 

양건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감사원의 중립성 확보 방안에 대해 집중 검증한 반면, 민주당 등 야당 의원들은 도덕성과 자질 문제 제기에 초점을 맞췄다.

 

한나라당 고승덕 의원은 “2004년 이 땅의 공시지가는 평당 7천원 미만인데 실제 매입가는 30만원으로 50배를 더 주고 샀다”고 지적했고, 양 후보자는 “투기는 절대 아니고 은퇴 후 집 짓고 살기 위해 샀다”고 반박했다.

 

양 후보자는 또 고 의원의 ‘논문 중복이 당시 관행이었느냐’는 논문표절 의혹에 대해 “당시 자기 논문을 중복(게재)하는데 문제 의식이 적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해당 부분의 중복게재시 각주를 달았지만 각주에서 표시한 페이지가 아닌 부분에 중복게재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면서도 “당시 비교적 (표절에) 유념해 각주를 표시했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권성동 의원은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에게 자리를 내주기 위해 물러났다는 의혹도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양 후보자는 “이재오 특임장관 길터주기 의혹에 대해서는 당시에는 후임자가 누가 될 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당시 권익위원장에 실세 정치인이 필요해서가 아니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현재 위원장은 정치인도 정치 실세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 조경태의원이 “(후보자 배우자가 매입한 땅은) 기획부동산 업자들이 산을 바둑판처럼 쪼개서 판 땅으로 맹지”라고 지적하자 “알고 있다. 도로에 접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집을 지을 수 없는 땅으로 안다”고 답했다.

 

조 의원은 곧바로 “건축법상 이 맹지는 건축허가가 나지 않는다. 전원주택에서 살고 싶다고 했는데, 건축허가가 나지 않는 땅에 어떻게 집을 지을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양 후보자는 “그 지분을 산 사람들이 합의해 도로를 만들고 공용부지를 제공하면 접선이 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들었다”고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양 후보자는 당시 부동산 업자로부터 임야를 쪼개 매입한 50명에 대해 “전혀 모른다”며 “부동산에 관해 모르는 처가 신중하지 못해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당 김진애 의원도 “양 후보자가 해당 토지를 사면서 당시 7천800만원에 사들이고도 약 50분의 1인 150만원에 신고했다”며 다운계약서 작성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양 후보자는 “당시 관행대로 부동산 업자가 신고한 것이며 당시로서 (그러한 행위는) 법령 위반은 아니다”라면서도 “논란의 소지가 있다는 자체가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는 것은 받아들인다”고 답변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