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3곳서 진행… 전교조 “사실상 일제고사, 자율에 맡겨야”
8일 시행된 초·중학생 대상 ‘교과학습 진단평가’가 일부 지역에서 치러지지 않거나 학교 자율에 맡겨진 가운데 인천지역에선 예정대로 초·중학교 363곳에서 일제히 진행됐다.
하지만 전교조는 일제고사 방식을 폐지하고 시행 여부는 학교나 교사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며 여전히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8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초등학교 3∼5학년 및 중학교 1∼2학년 등을 대상으로 진단평가가 치러진 이날 지역에선 초등학교 232곳 8만9천677명, 중학교 131곳 7만1천63명 등이 참여했다.
시 교육청은 학기 초 학생들의 기초학습 능력 및 교과별 부진 영역을 파악, 기초학력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을 보충 지도하기 위해 진단평가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예년과 달리 진단평가를 치르지 않거나 시험실시 여부를 놓고 학교나 학생 선택권을 보장한 지역 등이 많아 인천과 대조를 보였다.
진보성향 교육감이 이끄는 강원·광주시교육청은 이날 진단평가를 실시하지 않고 정상 수업을 한만큼 전교조 등이 주축이 됐던 체험학습 강행도 없었다.
서울·경기·전남·전북도교육청은 진단평가를 학교 자율에 맡긴 가운데 교육청 차원에서 평가학교 현황이나 시험결과 등을 수합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개별 통지 대신 학교 자체적으로 부진한 학생 진단자료로만 활용토록 했다.
전교조는 이같은 학교·교사의 자율적 판단에 의한 시행이 내년에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고 기존의 일제고사 방식을 폐지할 것과 학교별 순위표를 작성하지 않고 순수하게 학습진단평가의 도구로만 사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임병조 전교조 인천지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 지역·학교별 예산이 차등 지원되고, 학교수업은 진단평가를 대비한 문제풀이식 수업으로 변질되고 있다”며 “교육적 효과도 없고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만 가중시키는 (일제고사 방식의) 진단평가는 폐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