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사업장마다 임금협상 난항

인상률 의견 차 커…  노·사 충돌 예고

인천지역 경영계와 노동계간 올해 임금협상 의견 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노·사간 충돌이 예고되고 있다.

 

인천경영자총협회(경총)는 3일 총회를 갖고 올해 임금조정 권고안을 결의할 예정이다.

 

권고(안)은 올해 임금인상 폭 3.5% 이내, 사후 성과배분형식의 임금결정체계 전환, 적정 최저임금 수준으로 관련 법 재개정 요구 등을 담고 있다.

 

특히 복수노조, 타임오프제(근로시간면제 제도) 시행 등으로 인한 임금인상 요인을 반영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최근 한국노총 인천본부가 올해 기본 임금인상률을 9.4%로 정하고 근로시간 면제제도로 활동에 제약받고 있는 노동조합 전임자 임금을 충당할 수 있도록 사업장별로 인상률을 추가토록 한 것과 정반대다.

 

한국노총은 현재 표준생계비 55% 수준에 머물고 있는 임금수준을 75%까지 맞추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 인천본부도 중앙 방침에 따라 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의 55% 수준인 155만1천원(24%↑)까지 올리고 내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을 현행 4천110원에서 5천390원으로 인상을 요구하기로 한 것과도 큰 격차를 보인다.

 

이 때문에 벌써부터 올해 지역 각 사업장별 임금교섭이 순조롭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매년 임금인상 때마다 경영계와의 의견 차이는 있었지만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대립이 심할 것 같다”며 “물가도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물가상승률을 밑도는 3.5% 인상은 되레 임금을 낮추겠다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총 관계자는 “과도한 임금 인상은 다시 물가상승 압박요인이 돼 결국 근로자들의 실질소득과 기업 경쟁력이 함께 하락하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