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보다 4.5%↑ 농산물 21.8% 등 급등 정부 물가관리 비상등
지난달에도 물가가 4%대 고공행진을 지속하며 소비자물가가 27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 정부의 물가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5% 상승했고 전월 대비로는 0.8%가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008년 11월의 4.5% 이후 2년3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2010년 2월 2.7% 이후 8월까지 2%대를 유지하던 소비자 물가는 9월 3.6%, 10월 4.1%, 11월 3.3%, 12월 3.5%, 올해 1월에 4.1%로 오르며 불안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이 중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5.2% 올랐고, 중동의 정세불안으로 인한 유가 급등으로 석유류 가격은 12.8%나 상승했다.
부문별 증가폭을 살펴보면 농산물(21.8%)과 축산물(12.3%), 수산물(11.4%)의 가격이 크게 올라 농축수산물이 17.7% 올랐고, 공업제품도 석유류(12.8%)의 가파른 상승세에 따라 5.0% 상승했다.
서비스 부문은 2.5% 오른 가운데 공공서비스가 1.2%, 개인서비스와 집세가 각각 3.0%, 2.7%의 상승률을 보였다. 개인 서비스 중 외식 물가는 3.5% 올랐다.
품목별로 따져보면 배추(94.6%), 파(89.7%), 마늘(78.1%), 고등어(44.6%), 돼지고기(35.1%)의 상승률이 높았고 공업제품 중에서는 금반지가 19.9% 올랐고, 국제 유가 급등의 영향을 받은 등유(19.3%), 경유(14.6%), 휘발유(11.1%)도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농축산물 가격상승 압력은 기온이 점차 오르면서 일정부분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며 다른 부문 가격들도 2분기에는 안정될 것으로 본다”며 “중동의 정세불안으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5% 급등하면서 ‘5% 성장, 3% 물가안정’이라는 목표가 흔들리자 정부는 종합적인 비상계획을 수립하는 등 비상물가 대응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물가안정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열고 서민물가 안정을 위한 종합대책의 추진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대응체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관계부처 장관이 모이는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수시로 물가대책 추진실적을 점검하기로 했으며, 에너지소비 관련 조치도 기획재정부 주도하에 경제정책 전반에 걸친 비상계획을 수립해 대응하기로 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