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축사·구제역 매몰지 방역 발암성 소독제 마구잡이 살포

효과 높이려 혼합 비율 어기고 남은 약품은 야외에 방치

 

집수시설 없어 그대로 하천·토양으로… 생태계 파괴 우려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성분이 들어있는 소독제가 구제역 방역 과정에 기준치보다 훨씬 많이 사용된데다 관리도 부실하게 이뤄져 환경파괴 논란이 일고 있다.

 

1일 환경부와 고양시 등에 따르면 고양시는 지난해 12월19일 첫 구제역이 발생하자 46개 방역초소를 운영하고 축사와 매몰지 소독을 하는 과정에서 각종 소독제 3만5천900ℓ를 사용했다.

 

이런 가운데 고양시가 사용해 온 6종류의 소독제 중 ‘슈퍼○○’와 ‘바리로○○’ 제품의 경우 글루탈알데히드 성분이 포함된 알데히드 계열 약품으로 생체 내 아미노산 사이에 결합해 분자를 고정시켜 생체조직을 부패하지 않도록 하는 성분이 있어 맹독성, 발암성으로 분류된 시약으로 알려졌다.

 

또 ‘바이시○○’ 등 3종의 약품에 포함된 4급암모늄제제와 3종염, 과초산 등의 성분은 살균력이 강해 구제역 초소에서 대량으로 살포할 경우 토양 미생물과 수생 미생물을 함께 죽여 먹이사슬을 통해 생태계 파괴도 우려되고 있다.

 

특히 방역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제역 초기 물 1t당 약품 2ℓ를 혼합해야 하지만 고양시는 방역 효과를 높이기 위해 6ℓ를 혼합해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하루 평균 8t의 약품을 살포해 온 방역초소에는 집수시설조차 갖추어지지 않아 지난달 말 내린 비로 인근 하천이나 토양으로 약품이 유입된 상황이다.

 

여기에 미처 사용되지 않은 소독제들은 며칠동안 눈과 비가 내린 야외에 그대로 방치돼 있어 2차 오염도 우려되고 있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구제역 방역에 사용된 소독제의 위해성 지적이 일고 있다.

 

박평수 고양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장은 “소량을 사용할 경우 문제가 없겠지만 지금처럼 대책 없이 대량의 약품을 살포해 구제역 발생지마다 환경재앙이 우려된다”며 “농림수산식품부는 사용방법이나 사용량을 지킬 경우 피해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방역 현장에서는 일부 공무원이 기본 지침조차 지키지 않고 약품관리도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그동안 매몰지 침출수에 대해서만 신경써 온 것이 사실”이라며 “이달 중 국립환경과학원과 함께 소독제로 인한 피해 조사에도 나서겠다”고 말했다.

 

고양=박대준기자 djpar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