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향식 국민경선… 초선의원 모임 ‘찬성’-친이 ‘반대’-친박 ‘보완’
한나라당 공천개혁특위(위원장 나경원 최고위원)가 28일 최고위에 ‘상향식 공천개혁안’을 보고했지만 당내 계파간 의견이 엇갈리는 모습이어서 진통이 예상된다.
나 최고위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회의에서 “18대처럼 공천을 한다면 과연 내년 당이 (19대) 총선과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공천제도개혁특위 안을 하지 않으면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패배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당은 우리의 것이 아니며, 한나라당은 당의 가치와 이념을 공유하는 국민과 당원의 것”이라면서 “이제 공천권을 국민과 당원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위가 이날 보고한 개혁안의 핵심은 ‘오픈 프라이머리’(국민경선제)를 도입하는 것으로, 차선책으로 ‘2:3:3:2’(대의원20%·일반당원30%·일반국민30%·여론조사20%) 혹은 ‘5:5’(당원50%·국민50%) 국민경선을 하도록 했다.
새로운 인사 영입을 위한 전략공천 비율은 20% 이내로 제한하고, 현역 의원에 대한 공천심사 시 의정활동과 당선가능성, 지역평판 등을 지수화해 평가하는 내용도 담았다.
이에 대해 정두언 최고위원은 “국회의원이 진정 헌법기관으로서 독립적으로 제 역할을 하려면 공천권의 굴레에서 해방돼야 하며, 공천권을 특정인의 손에서 당원과 국민들의 손으로 돌려보내자는 것이 국민참여경선제의 의미”라며 공천개혁안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당내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 등 초·재선 의원들도 향후 ‘(가칭)공천개혁실행준비위’를 구성, 특위의 공천개혁안에 동참할 태세다.
이에 비해 친이(친 이명박)계 주류측을 중심으로 상당수 현역의원들은 공천개혁안이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주장, 오히려 새로운 인사 영입이 더욱 힘들 것이라며 부정적인 의견을 표하고 있다. 친이계 한 의원은 “국민경선을 획일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현역 의원들은 1년 내내 조직관리만 하게 될 것”이라고 부작용을 우려했다.
친박(친 박근혜)계는 공천개혁안에 대해 “기본적으로는 긍정적”이라며 총론에는 찬성하면서도 각론에서는 ‘금권 경선’ 우려를 표하는 등 세부 보완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한편 당 고위 관계자는 나 최고위원 등이 ‘이번 재·보선부터 공천개혁안을 적용해 경선을 실시하자’는 주장에 대해 “강원지사 후보 선출시에만 경선을 실시할 것이고, 나머지는 공심위와 여론조사 등의 방법을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혀 성남 분당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는 경선실시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 주목된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