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예산 결정한 적 없어”
농림수산식품부 유정복 장관은 28일 구제역 사태와 관련 “2차 백신 접종이 끝나고 일주일이 지나는 3월 초순께 대체적으로 진정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구제역이 언제쯤 진정될 것이냐”는 여야 의원들의 질의에 “현재 전체적으로 진정되는 국면으로 이해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소와 돼지의 2차 백신 접종이 완료한 시점에서 소의 경우 구제역이 발생되지 않았고, 돼지는 아직까지 발생하고 있다”며 “오염된 농장에서 백신 접종을 했지만 아직까지 항체가 형성되지 않거나 항체가 형성돼도 바이러스를 이기지 못하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정부의 미숙한 초동대응으로 구제역이 확산됐다는 지적에 대해선 “지난해 11월28일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직후 정부는 즉시 초동 대응팀을 가동하고 시료를 채취했고, 구제역 양성 확인 후 곧바로 초동 대응태세를 갖췄다”고 해명했다.
그는 다만 “11월23일과 26일, 두차례에 걸쳐 가축위생시험소 북부지소에서 가축발병 이상신고가 들어왔으나 검사 결과 음성 판정이 나왔는데 판단에 오류가 있지 않았나 싶다”며 “북부지소에서 이것을 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하지 않아 정부는 알 수 없었고, 초동단계의 문제점”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백신 접종을 늦춘 것이 아니냐는 것에 대해선 “백신은 최후의 수단이 돼야 한다”며 “전문가들도 백신은 신중하게 해야 한다고 했지만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백신을 접종하게 됐다”고 답변했다.
그는 “백신은 구제역 바이러스를 억제시키는 것인 만큼 (추후)배출을 통해 감염시킬 수 있다”며 “백신접종을 안 하고 구제역을 종료시키는 것이 청정국 지위를 유지시키고 올바른 방역정책을 펼 수 있다”고 말했다.
구제역 문제와 관련한 추가경정 예산 편성에 대해 “정부는 현재까지 확보된 예비비 외 각 부처가 갖고 있는 목적 예비비를 통해 충당하고 있다”며 “아직 추경예산 편성까지는 결정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