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도로명 주소사업’ 외면

경기·인천 18곳… 홈피에 옛 주소 그대로 게재

경기·인천지역 공공기관들이 정부가 펼치고 있는 도로명 주소사업을 ‘나 몰라라’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래희망연대 김 정 의원은 21일 기획재정부가 운영중인 공공기관 경영공시 사이트 ‘알리오’(2005년 12월 개통)를 분석한 결과, 옛 주소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기관이 전국 284개 공공기관 중 무려 119곳(41.9%)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중 40개 공공기관은 자체 홈페이지에 도로명 주소로 개편했음에도 불구하고 ‘알리오’ 홈페이지에 도로명 주소로 수정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인 18곳을 포함해 나머지 79개 공공기관은 해당 기관 홈페이지에도 도로명 주소로 개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행정안전부가 지난 1997년부터 올해까지 14년째 2천68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 국토를 대상으로 추진 중인 도로명 주소사업을 외면한 것이다.

 

당장 내년부터 현재의 지번주소 대신 도로이름과 건물번호를 사용하는 도로중심(도로명 주소)의 새 주소체계가 공식 시행될 예정으로, 정부는 새주소 사업의 정착을 위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경우 2009년까지 1차적으로 도로명 주소로 개편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미 도로명 주소 개편 사업이 이미 완료됐어야 할 일부 공공기관들이 ‘알리오’ 홈페이지 혹은 자체 홈페이지에 옛 주소를 그대로 게재, 혼선을 빚게 하고 있다.

 

경·인 공공기관 중 자체 홈페이지 주소도 개선하지 않은 곳은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한국석유공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88관광개발㈜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코레일지로스㈜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전자파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등 도내 13곳, ▲인천국제항공사 ▲선박안전기술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인천종합에너지㈜ ▲한국환경공단 등 인천 5곳이다.

 

김 의원은 “일부 공공기관들이 옛날 주소를 그대로 사용해 100년만에 시행되는 도로명 주소사업의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면서 “이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공공기관이 관심을 갖고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