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냐 정책위냐’ 지도부 의견차
한나라당이 개헌특위 구성을 놓고 지도부가 양분되며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8·9일 의원총회에서 개헌 특별기구를 구성키로 했으나 최고위원들이 일주일 넘게 최고위원회 산하에 두느냐 정책위원회 산하에 두느냐를 놓고 논란만 벌여 무기력한 지도부라는 비난을 자초하는 모습이다.
17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최고위원들은 찬반 토론을 벌였으나 의견이 팽팽히 맞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안형환 대변인은 비공개 부분 브리핑을 통해 “당내 개헌특위 구성에 관한 논의가 있었고,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9명 전원이 각자의 의견을 충분히 개진했다”면서 “개헌 논의를 위한 특별기구를 최고위원회 산하에 둘지 정책위원회 산하에 둘지 두 안에 대해서 의견이 팽팽히 맞서 결론을 유보하고 앞으로 더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회의에서 안상수 대표(의왕·과천)와 김무성 원내대표, 나경원·정운천 최고위원, 심재철 정책위의장(안양 동안을)은 최고위 산하에 두자는 의견을 제시한 반면 홍준표·서병수·박성효 최고위원은 정책위 산하에 두자고 주장했으며, 정두언 최고위원은 개헌 논의 자체를 반대하면서 기권 의사를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원내대표는 “개헌 의총때 당내 특별기구를 설치하기로 한 만큼 최고위에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으며, 안 대표도 “의총결과에 따라 최고위 산하에 두는 게 옳다”면서 “개헌이 중대한 사안인데 정책위 산하에 둘 경우 TF성격으로만 한정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홍 최고위원은 “지도부가 조정을 요하는 개헌 문제에 나서면 문제가 된다”며 “정책위 산하에 (개헌특위를) 놓고 안이 올라오면 (최고위에서) 논의하는게 맞다”고 주장했으며, 친박(친 박근혜)계인 서 최고위원도 “정책위에서 조용히 안을 만들어 올리는 게 낫다”고 동조했다.
결국 찬성 5명 대 반대 4명(기권 포함)으로 양분되는 모습을 보여, 안 대표가 결론을 유보하고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고 안 대변인이 전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