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지침 위반·붕괴 위험 등 양평·여주·남양주 3월까지 정비
상수원으로 쓰이는 한강의 상류 지역에 조성된 살처분 가축 매몰지 상당수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17일 정부 합동 조사단이 상수원 상류 매몰지 99곳 가운데 83곳에서 현장 조사를 벌인 결과 27곳이 침출수 유출 등의 우려로 정비가 필요하고, 16곳은 진행 중인 방역이 끝난 뒤 조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비 대상 매몰지는 경기도내 양평, 여주, 남양주와 강원도 원주, 춘천, 그리고 충북의 괴산 등에 분포돼 있다.
정비가 필요한 매몰지 27곳 가운데 12곳은 ‘주변 하천으로부터 30m 이상 떨어진 곳에 매몰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거리지침을 위반해 침출수에 의한 하천 오염 우려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천으로부터 매몰지까지 거리가 3m에 불과한 곳도 있었다. 또 매몰지를 비탈면에 조성해 붕괴 위험성이 있는 곳도 4곳이나 됐으며, 11곳은 빗물이 매몰지로 흘러들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해 배수로 추가 설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는 매몰지가 하천에 인접해 있어 상수원 오염이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침출수가 주변 하천이나 상수원으로 유입된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들 매몰지에 총 14억원을 투입해 다음달 말까지 옹벽과 물막이시설, 빗물차단시설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상수원 상류 외 다른 지역 매몰지도 전수조사를 벌여 문제가 있는 곳은 신속하게 정비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매몰지 인근이면서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아 주민이 지하수를 마시는 지역에는 상수도 보급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먹는 물 문제를 해소할 계획이다.
앞서 경기, 강원, 충북 등 한강 상류지역 지방자치단체는 2천926개 매몰지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벌여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99곳에 대한 합동조사를 정부에 요청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