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구제역 후속대책 ‘올인’

환경오염 우려… 매몰지 전수조사 등 추진 ‘구제역 국정조사’ 구두합의 놓고 진위 공방

구제역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매몰지 환경오염이 우려되면서 여·야가 후속대책에 올인하고 있다. 또 여·야는 구제역 국정조사 합의를 두고 서로 다른 입장을 밝히는 등 책임 규명을 놓고 논란을 이어가고 있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의왕·과천)는 16일 라디오방송 연설을 통해 “당·정은 날씨가 풀리면서 매몰지에서 침출수나 전염병 창궐이 우려되는 만큼 전국 4천여개 매몰지에 대한 전수 조사를 하기로 결정했으며, 전국적으로 2차 예방백신 접종을 이달 중으로 마칠 방침”이라면서 “앞으로도 구제역 차단 방역 태세를 계속 유지하면서 근본대책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배은희 대변인은 이날 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 비공개부분 브리핑을 통해 “구제역 관련 특위를 중심으로 당과 정부가 긴밀하게 당·정회의 등을 통해 대책마련을 해나가고 있으나 실제적인 현장방문이라든지 상황을 좀 더 파악하기 위한 논의 등을 위해 오는 18일 오후 4시에 전국 시·도당 위원장들을 긴급 소집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민주당도 구제역특위를 중심으로 강원도 홍천군 남면 신대리 매몰지에 실사단을 파견하는 등 구제역으로 인한 침출수 유출·상수원 오염 피해를 철저히 조사키로 했다.

 

차영 대변인은 이날 현안브리핑을 통해 “구제역 대란이 도대체 어디까지 확산할지 국민의 걱정이 태산”이라면서 “정부의 부실한 국정운영이 죄 없는 300만마리의 가축을 죽이는 것도 모자라 국민의 건강까지 죽일 판이니 참담하기 이를 데 없다”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당초 요구했던 구제역 국정조사에 대해 “민생특위와 대정부 질문, 상임위 활동을 통해서 문제제기를 하면서 그 결과물로 구제역 국정조사를 요구하기로 했다”며 “민생대책위에서 구제역을 따져가면서 정부 보조를 맞춰서 구제역에 대한 국정조사를 해야 된다는 구두합의는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민생특위 활동을 해 보고 문제가 더 있으면 그때 국조를 이야기해 보자고 한 것”이라면서 “기본적으로 우리는 구제역 국조가 필요 없다는 입장이며 여야 합의문에 없는 내용”이라고 일축, 향후 민생특위 진행 과정에서 구제역 국정조사 실시를 둘러싸고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