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냐 원내대표냐’ 설치 놓고 의견 엇갈려
한나라당 지도부가 개헌 논의를 위한 특별기구 설치 문제와 관련,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
지난 8·9일 양일간 ‘개헌 의원총회’을 통해 개헌을 논의키 위한 당내 특별기구를 설치하기로 의결했지만, 특별기구를 최고위 산하에 두느냐 혹은 원내대표 산하에 두느냐 등을 놓고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양상이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14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지도부가 당내 정치세력간 이견을 조정·타협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런 절차 없이 일방적으로 특별기구를 최고위 산하에 두게 되면 지도부가 조정·타협할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면서 “최고위 산하나 당대표 산하의 개헌추진 기구를 두게 되면 최고위나 당대표가 이견 없이 개헌을 해야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원내대표 혹은 정책위 산하에 개헌 실무 기구를 두고 당내 정치세력간 타협을 지도부가 나서서 하고 정치세력간 타협이 되면 그 다음에 당내 개헌 특별기구를 두고 야당과 협상에 나서는 2단계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정부·여당이 개헌을 제대로 하려면 대통령이 개헌 발의를 하고, 여당이 총력적으로 국민을 설득하는 절차로 가야 한다”면서 “지금 의회가 나서서 개헌발의를 할 국민적 열망이 과연 있느냐”고 반문했다.
최고위원회의에 앞서 조찬 모임에서도 안상수 대표(의왕·과천)와 김무성 원내대표는 특별기구를 최고위원회의에 둬야 한다는 입장을 개진한 반면 정두언·서병수 최고위원 등은 반대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날 최고위원회 비공개회의에서는 개헌문제가 아예 언급도 되지 않는 등 개헌 특별기구 설치문제가 최고위원들간 내홍만 불거지게 하고 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