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개헌론·한미FTA 비준안 등 이해 엇갈려
민주당의 2월 임시국회 등원 결정에 따라 여야가 13일 의사일정 조율에 나섰지만 합의에는 실패했다.
한나라당 김무성·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회동을 갖고 의사일정에 대해 논의했지만 구체적으로 결정된 내용이 없다고 민주당 전현희 원내부대표가 이같이 전했다.
전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 한나라당과 민주당 원내대표간 회동에서 민주당의 입장에 관해 전달했고, 또 한나라당의 입장을 청취했다”면서 “오늘 회동에서 구체적으로 결정된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향후 국회 의사일정은 여야 원내수석부대표간 협의를 통해 하도록 했다”며 “앞으로 민주당에선 의원총회를 열어 현 상황에 대해 의원님들께 보고하고 의견을 청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는 국민을 위해서 어떠한 경우에도 국회를 버리지 않겠지만 최대한 합의가 돼야 한다”며 “‘내일 등원하겠다, 언제 하겠다’는 것은 아직 말할 단계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박 원내대표는 국회 정상화를 위한 여야 간 합의 조건으로 민생국회 전념하는 것을 비롯해 12·8 날치기 법안 최우선 상정 및 심의와 날치기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합의 등을 제시했다.
그는 “날치기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만들기 위해 이미 민주당에서 당론으로 발의돼 있는 소위 ‘박상천법안’, 박병석 의원의 직권상정제한법 등 두 법과 한나라당 홍정욱 의원이 제안한 법안을 갖고 도출을 해서 날치기가 국회에서 영원히 없어지는 법적 조치를 이루도록 하자”고 말했다.
그는 또 영수회담 결렬과 관련, “우리 국민은 참 속 좁은 대통령을 가졌다”며 “영수회담을 위해서 어떠한 조건도 없다는 것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아무런 연락이 없는 것은 국회를, 야당을, 정치를 무시하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이처럼 여야가 2월 임시국회에서 정상화를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여야 간 공방이 불꽃 튈 전망이다.
특히 지난해 말 한나라당의 예산안 강행처리로 여야 간 앙금이 남아있는 데다, 내년 총선의 전초전인 4·27 재보선을 앞두고 있어 힘겨루기는 불가피해 보인다.
또 여야 모두 ‘민생 국회’를 외치고 있지만, 개헌론과 함께 구제역·전세난·고물가·일자리 등 민생 현안, FTA(자유무역협정) 비준안 등에 대한 여야의 이해가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