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젖소 수입 확대 검토”

우유 수급안정 대책

분유 등 유제품 조기수입

 

일정비율 무관세 도입도

올 하반기부터 외국젖소 수입이 확대될 전망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0일 “구제역 사태로 인해 우유 및 관련 제품의 공급이 줄면서 가격불안 요인이 발생했다고 판단, 축산농가별 생산쿼터량을 늘리고, 유제품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수입단가를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가 이날 밝힌 ‘원유 수급안정 대책’ 에 따르면 개학을 맞아 원유 생산량의 74%를 차지하는 시유(신선우유)를 학교 급식용으로 우선 공급할 방침이다.

 

또 2011년도 유제품 시장접근물량을 조기에 수입해 국내 재고분유 부족에 따른 수급불균형을 해소하기로 했다. 유제품 시장접근물량은 탈지분유 1천34t, 전지분유 573t, 연유 130t, 버터 420t 등이다. 아울러 탈지분유 8천t과 전지분유 1천t을 올해 상반기 내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무관세로 도입하고, 하반기에도 탈지분유 1만2천t, 전지분유 2천t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도입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번식용 젖소는 매년 시장접근물량(1천67마리)을 무관세로 도입할 수 있다”면서 “구제역이 끝날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하반기부터 시장접근 물량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